[옴부즈맨 칼럼] 지구촌뉴스 정확한 의미 전달이 필요/정용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동향분석실 연구위원

[옴부즈맨 칼럼] 지구촌뉴스 정확한 의미 전달이 필요/정용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동향분석실 연구위원

입력 2010-10-26 00:00
업데이트 2010-10-2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퓰리처상을 세번이나 받은 토머스 프리드먼은 ‘평평하다’는 단어 하나로 세계화의 특징을 명쾌하게 요약한다. 상품과 자본은 물론 정보와 문화가 국경을 자유롭게 넘나드는 ‘지구촌 시대’에 세계화는 이제 우리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다.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외국인이 출연해도 그리 어색하지 않게 되었고, 다문화가정을 소재로 한 드라마도 자연스럽다. 거리에서도 외국인을 쉽게 만날 수 있어 주한 외국인이 100만명을 넘어섰다는 사실을 실감하게 된다.

이미지 확대
정용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동향분석실 연구위원
정용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동향분석실 연구위원
서울신문도 국제면을 따로 두고 세계화의 이해를 돕고 있다. 주요 국제회의와 문화계 행사를 소개하는 국제면의 ‘월드뉴스 위클리 프리뷰’(10월 18일)는 사진과 함께 독자에게 메시지를 간결하게 전달하는, 작지만 힘 있는 지면활용 방식이다. 그러나 국제면의 사실보도 기사는 종종 정확한 의미 전달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지난주 국제면에서 독자의 시선을 사로잡은 기사는 단연 프랑스 연금개혁을 둘러싼 시위다. ‘佛(불) 정년연장 반대 300만명 거리로’(10월 18일), ‘反(반) 연금개혁에 佛 올스톱’(10월 19일), ‘유류대란 조짐…땅길 이어 하늘길도 막히나’(10월 20일), ‘최루탄 vs 돌…연금 앞에 佛 이성 마비됐다’(10월 21일). 기사내용을 읽지 않고 제목만 봐도 연금개혁 법안에 반대하는 시위가 점점 거세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시위의 전개과정도 중요하지만 개혁 법안에 대한 배경 설명이나 이해당사자의 견해 분석은 아쉬웠다. 실업률을 도표로 곁들여 설명한 기사(10월 20일)로는 부족했다. 연금 문제는 우리에게도 중요한 사안이기 때문이다. 특히 ‘이성 마비됐다’는 식의 표현은 프랑스 시위 문화의 전통을 잘못 이해할 빌미를 준다. 다른 나라의 역사나 문화적 배경 설명 없는 사실 보도로 인해 생긴 오해를 줄이기 위한 시도는 심층 분석기사일 것이다. 우리가 신문의 기획기사를 주목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한·일 강제병합 100년을 맞아 한완상 교수와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의 신년호 대담을 시작으로 8개월 동안 연재한 ‘한·일 100년 대기획’은 과거를 교훈으로 새로운 100년을 열어 가는 길을 닦는다는 취지에 부합하는 기획이었다. 매주 연재되는 ‘新(신) 차이나 리포트’도 중국의 과거와 현재는 물론 미래 방향까지 가늠할 수 있는 기획이다. ‘세계를 호령하는 G2 중국’(1부)이 화평굴기(和平崛起·평화를 지향하며 우뚝 섬)하는 모습을 조망하는 기사로 출발해 ‘2010 중국인을 말한다’(2부), ‘중국경제를 말한다’(3부)로 이어지고 있다. 앞으로 문화와 예술 영역의 ‘당대’ 흐름도 소개해 이해의 폭을 넓히길 바란다.

국제면에 영향력 있는 주변국인 중국과 일본 기사가 집중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아시아 주변국에 대한 보도나 심층기사도 필요하다. 아세안 국가에 대한 이해는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는 지역 내 국가 간 협력은 물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기반이기 때문이다.

경제상황이나 정치체제만큼 중요한 것은 문화영역이다. 주변국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국제면의 기사를 통할 필요는 없다. 이런 점에서 미시마 유키오의 작품 ‘금각사’를 통해 일본 전후 문학과 사회사를 조망한 ‘고전 톡톡 다시 읽기’(10월 18일)나 프랑스와 러시아, 한국 발레단의 ‘지젤’ 공연을 비교한 ‘지젤 삼국지’(10월 22일) 기사는 친근하고 신선하다. 10월부터 연재하는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도 지구인 절반이 도시에 사는 시대에 다른 나라의 도시를 통해 우리의 모습을 돌아보는 좋은 기획이다.

‘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이 내걸었던 표어다.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편견 없는 마음을 가질 때 ‘꿈’은 현실이 된다. 지금 세계는 원조 받던 나라에서 G20 정상회의 의장국이 된 우리의 역할을 주목하고 있다. 다양성 속에서 서로의 개성을 찾을 수 있도록 지구촌 가족의 상호이해와 소통을 돕는 서울신문의 역할을 기대한다.
2010-10-26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