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부즈맨 칼럼] 제목, 길거나 짧다/이승선 충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옴부즈맨 칼럼] 제목, 길거나 짧다/이승선 충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입력 2015-07-14 18:02
수정 2015-07-14 18: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승선 충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이승선 충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제목은 기사의 내용을 적절하고 간결하게 드러내야 한다. 요모조모 길어진 본문을 핵심적인 단어 몇 개에 응축해야 한다. 핵심을 담지 못하면 편파나 왜곡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응축에 실패한 제목은 간결하기는커녕 가리사니 없이 뜻조차 모호해진다. 자극적이지 않은 말로 제목 소비자가 된 시민들의 마음을 자극하고, 도끼 자루 같은 평범한 언어로 잠자는 독자들의 호기심을 바늘마냥 예리하게 찔러야 좋은 제목이라고 말한다. 기사 제목에는 언론사의 편집 정체성과 주관성이 녹아 있고 시대의 역사성도 버무려져 담긴다. 제목은 정보와 주장이 아슬아슬하게 교차하는 지점이기도 하다. 정보를 주장으로 앞세우거나 주장을 정보처럼 밋밋하게 처리해서는 곤란하다. 제목을 생산하는 편집 전문가들이 존중받아야 할 이유다.

종이 신문 열독자가 줄어들고 대신 포털과 모바일로 기사를 읽는 결합 뉴스 소비자가 크게 늘어나면서 기사 제목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힐끗 보고 순식간에 구매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노상의 신문 가판대보다 온라인 뉴스 시장의 판매 경쟁은 더 치열하다.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낚시 제목과 어뷰징 기사가 넘쳐나는 이유다. 신문 기사의 제목은 품위를 잃지 않되 뉴스 이용자의 눈길을 확 잡아당기는 매력을 지녀야 한다는, ‘거의 불가능한’ 책무까지 겹으로 껴안게 됐다. 그래야 뉴스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온라인 세상이 됐다. 다수의 언론이 디지털 퍼스트를 넘어 디지털 온리 전략을 채택한 미디어 환경에서 기획편집 부문에 대한 신문사의 과감한 투자와 관리가 절실하다. 현재 신문 기사 제목이 어떤 특성을 갖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최근 서울신문의 기사 제목은 다소 길거나 조금 짧아 보인다.

한국 언론은 취재원의 발언 일부를 직접 인용해 제목을 붙인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사실에 불과한 발언의 일부를 객관적인 진실로 둔갑시켜 독자들을 미혹한다는 것이다. 일리 있는 지적이다. 다른 신문에 비해 활용 사례 수는 적다고 보지만, 여전히 서울신문의 주요 지면에 취재원의 발언을 직접 소개하는 제목이 자주 사용되고 있다. 고위 공직자와 유명 정치인과 대규모 기업인의 인터뷰 발언이 따옴표 제목으로 뽑혔다. 줄여 나가야 한다.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권위지들의 경우 취재원의 발언을 따옴표 제목으로 뽑아 쓰는 비율이 대단히 낮다. 1면의 경우 더욱 그러하다.

또 서울신문의 경우 주요 지면에서 완결형 제목 사용이 타 언론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아 보인다.

7월 10일자의 경우 1~3면에 실린 10개의 기사 중 5개가 완결형 제목으로 처리됐다. ‘재건축 때…사고판다’, ‘담배 수출량이…앞질렀다’, ‘꽃다운…늙는다’, ‘직접 만든…팔 수 있다’, ‘도로변…수익 늘린다’ 등이다. 장단점이 있을 것이다. 이런 제목 형태에 대한 독자들의 반응을 살피고 전문가들의 평가를 지속적으로 받아 보길 기대한다.

사설의 제목은 매조지가 안 된 사례가 상대적으로 많다. 다른 신문의 사설도 일부 그러하지만, 서울신문의 경향은 두드러져 보인다. 곱씹어야, 새겨야, 넘겼으니, 쏟아야, 밝혀야, 계기 돼야, 대비해야, 돼야, 심판해야, 없어야. 지난 보름치 사설의 제목의 끝자락 단어다. 줄임과 축약이 더 강력할 수도 있지만, 사설의 제목은 신문사의 정체성과 주관성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분명히 매조지를 하는 것이 더 좋겠다.
2015-07-1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