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빛 발견] 파이팅, 아자, 아리아리/이경우 어문팀장

[말빛 발견] 파이팅, 아자, 아리아리/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기자
입력 2016-08-11 01:46
업데이트 2016-08-11 01: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파이팅’은 타박을 들었다. 콩글리시라는 멸시를 받았다. ‘싸움’이란 뜻을 가지고 있는 말이어서 격려나 응원의 구호로 어울리지 않는다는 지적을 불렀다. 그러나 크게 들리지 않았다. 대중들은 아랑곳하지 않고 ‘파이팅’을 외쳤다. 소리가 주는 경쾌함이 있었다. 끝음절 ‘팅’의 거셈(ㅌ)과 울림(ㅇ)이 주는 조화와 힘이 있었다. ‘파이팅’이 쉽게 튀어나오는 이유가 됐다.

그래도 저항감이 있었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 ‘파이팅’ 대신 ‘아자’를 외치는 사람들이 꽤 나타나기 시작했다. 2004년 티브이 드라마의 영향으로 ‘아자’는 유명해졌고 조금 널리 쓰이게 됐다. 같은 해 국립국어원은 ‘파이팅’을 대신할 우리말을 공모해 ‘아자’를 선정했다. 그렇더라도 ‘파이팅’을 넘지는 못했다. ‘아자’는 조금씩 시들해져 갔다. 상대에게 힘을 주는 구호로서는 힘이 부족해 보였다. ‘아싸’처럼 여겨지는 면이 있었다. ‘아싸’는 뜻밖에 기쁜 일이 생겼을 때 혼잣말처럼 외치게 된다. 누군가에게 전하기 위한 의도가 거의 없다. ‘아자’는 ‘아싸’와 ‘파이팅’의 중간쯤에 놓여 있는 듯하다.

시민단체 한글문화연대는 소식지 이름을 ‘아리아리’라고 지었다. 말뜻이 좋아서 널리 쓰이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겼다. 행사에서는 ‘아리아리’를 구호로 사용한다. ‘길이 없으면 길을 찾아가고, 그래도 길이 없으면 만들어 가라’는 의미란다. 희망도, 도전 정신도 느껴진다. 리듬감도 있어 외치는 데 무리가 없다. 격려와 응원이 필요한 시절이다. 우리 모두 아리아리~.

이경우 어문팀장 wlee@seoul.co.kr
2016-08-11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