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하다’는 글말에 가깝다. 일상적인 대화에서는 쓰임새가 드물고 주로 글에서 쓰인다. “제주도는 남쪽에 있어”가 글로 옮겨질 때는 ‘한라산은 남쪽에 위치한다’가 된다. 어색함은 잊어버린다. 다분히 의식적이다.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글은 말보다 좀더 무거워야 한다고 여긴다. 이왕이면 격식과 운치도 있으면 좋다고 아무 때나 생각한다. 여기에 ‘관행’, ‘습관’이란 ‘원칙’이 작동한다.
태풍 ‘제비’가 일본 간사이공항을 덮쳤다. 이 소식을 전하는 문장들에서도 ‘위치하다’가 익숙하게 왔다. “간사이공항은 인공섬에 위치한 공항”, “바다에 위치한 간사이공항”처럼 나타났다. 커서 잘 맞지 않는 옷처럼 보인다. 입말에서처럼 “인공섬(바다)에 ‘있는’ 간사이공항”이 더 잘 어울리고 편해 보인다.
더 나간 것들도 있다. ‘위치하다’와 ‘있다’를 같이 쓴다. “건물은 시내 중심가에 위치하고 있다”, “복숭아뼈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인대”라고도 한다. 여기저기 흔하다. 낡고 형식적이고 군더더기처럼 비친다. 일상의 말이 더 쉽고 편하게 소통된다.
2018-09-06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