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가영의 장호원 이야기] 함께 깃들여 살아가는 곳

[신가영의 장호원 이야기] 함께 깃들여 살아가는 곳

입력 2020-05-19 23:02
수정 2020-05-20 04: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신가영 화가
신가영 화가
여름 철새 후투티가 마당 안으로 날아들었다. 작년에 처음 보고 또 오리라 생각하지 못했는데 이번에는 한 마리가 아닌 두 마리다. 근처에 둥지가 있는 모양이다. 화려한 모습을 보면 사람을 피해 숨을 듯한데 의외로 사람에 대한 경계가 심하지 않은 새다. 반가운 손님인 양 나가서 사진을 찍는데 이리저리 움직이는 모습을 보더니 후르르 날아가 버린다. 후투티는 일부러 둥지를 만들지 않고 만들어져 있는 나무 구멍이나 지붕 처마 등에 알을 낳는다는데 숲이 가까이 있고 딱따구리가 자주 보이는 동네니 둥지 틀 자리는 많을 듯하다. 오디새라고도 하는데 집에 뽕나무가 있어서 찾아들었는지도 모르겠다. 점차 벌, 나비도 많이 날아들고 파리, 모기뿐 아니라 온갖 벌레들도 왕성해지는 계절이다. 꾀꼬리는 벌써부터 깃들여 노래를 하고 있고 뻐꾸기와 검은등뻐꾸기도 등장해 계절을 알리고 있다.
이미지 확대
문득 나는 주인일까 손님일까. 손님이란 다른 곳에서 주인을 찾아온 사람을 말한다. 승객이나 고객처럼 잠시 이용하고 떠나는 사람을 지칭하기도 한다. 손님이 떠나도 주인은 뒷설거지하고 내일을 준비하는 사람이다. 아무리 사람이 주인이라 해도 그들이 보기에 손님처럼 보일 것이고, 손님처럼 찾아들었어도 이곳을 터전 삼아 살아가니 그들은 또 다른 주인인 셈이다. 잠시 머물다 간다 하여 손님이라 할 수 없다. 마당에 깃들이는 생명들, 찾으면 찾을수록 그 수가 적지 않음에 새삼 놀라곤 한다. 몇 해를 넘기고도 잡초를 매다 보면 이름 모를 풀이 새로이 보이고, 언제 봤던가 싶은 새들과 아리송한 벌, 나비들과 애벌레들이 등장한다. 사람이 살든 살지 않든 이곳에서 살아가며 이곳을 이루는 그들이다. 언젠가 나도 떠나겠지만 사는 동안 그들처럼 자연스럽게 깃들일 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렇게 될 수 있게 주변을 살피며 드나드는 그들이 손님이 아닌 주인으로 함께하기를 바란다.

오월은 챙겨야 할 날이 많은 달이다. 노동절을 시작해서 어린이날, 어버이날, 스승의날, 성년의날 등등 그리고 5·18민주화운동기념일. 살펴보면 모두 사람을 위하는 날이다. 오월이 그러한 것은 만물이 소생하는 시기에 서로 살피는 마음 잃지 말고 인간다움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는 의미 아닐까. 우리는 모두 손님이면서 주인이기에.

2020-05-2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