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우리말] 접두사 ‘개-’/오명숙 어문부장

[똑똑 우리말] 접두사 ‘개-’/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기자
입력 2020-12-02 20:46
업데이트 2020-12-03 00: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접두사는 파생어를 만드는 말로 어근이나 단어의 앞에 붙어 새로운 단어가 되게 하는 구실을 한다.

‘참사랑’, ‘참뜻’의 ‘참-’이 ‘진짜’ 또는 ‘진실하고 올바른’, ‘품질이 우수한’ 등의 뜻을 더하는 데 반해 ‘개철쭉’, ‘개수작’, ‘개망나니’의 ‘개-’는 ‘야생 상태의’ 또는 ‘질이 떨어지는’, ‘흡사하지만 다른’, ‘쓸데없는’ 등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다. 부정적 뜻을 가지는 일부 명사 앞에 붙어 ‘정도가 심한’의 뜻을 나타내기도 한다.

즉 ‘개떡’의 ‘개-’는 강아지를 일컫는 게 아니라 바로 ‘질이 떨어지는’, ‘흡사하지만 다른’이란 뜻을 나타낸다. ‘개꿈’도 ‘헛된’, ‘쓸데없는’ 꿈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개잡놈’도 ‘정도가 심한’ 잡놈이란 뜻이다. 이처럼 접두사 ‘개-’는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돼 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개-’의 뜻이 점차 확장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개꿀’, ‘개이득’, ‘개멋져’ 등의 표현을 접한 건 몇 년 전이다. ‘매우’, ‘정말로’라는 뜻으로 ‘개-’가 쓰인 것이다. 이때까지만 해도 한때 반짝 쓰이다 말겠지 했다. 하지만 부정적 뜻을 더하던 ‘개-’가 긍정적인 뜻의 낱말들과 결합하면서 쓰임이 날로 확장돼 가고 있다. 명사 앞에서만 쓰이던 것이 동사, 형용사, 부사 등 품사를 가리지 않는다. 그에 더해 ‘개-’가 결합하는 순간 가볍고 재미있는 분위기를 만든다. 이런 추세라면 ‘개-’의 사전적 뜻풀이에서 ‘부정적’이란 표현이 사라지는 것도 가능하지 않을까.

2020-12-03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