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아직도 대통령 나서야 움직이는 정책당국

[사설] 아직도 대통령 나서야 움직이는 정책당국

입력 2010-12-30 00:00
업데이트 2010-12-3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행정안전부가 운전 면허시험을 대폭 개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기능시험을 없애고, 필기시험도 교육으로 대체하는 방안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전체적으로는 국민 불편을 덜어주는 방향으로 바뀌는 내용이어서 환영할 만하다. 하지만 이명박 대통령이 질책한 지 8일 만에 발표됐다는 사실에 씁쓸함부터 다가온다. 아직도 대통령이 나서야 움직이는 우리 정책 당국의 현 주소를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다. 수요자인 국민을 위하는 입장에서 정책을 펼 날이 언제 올 수 있을지 까마득하다.

운전면허 개선안이 나온 과정을 보면 흡사 ‘전봇대 뽑기’를 다시 보는 것 같다. 이 대통령은 당선자 시절 대불산단 전봇대를 뽑도록 지시해 규제 완화의 기치를 올렸다. 하지만 정부가 줄인다던 ‘규제 전봇대’는 오히려 늘어났다. 규제개혁위원회에 등록된 주요 부처별 규제 건수는 7042건으로 3년 전보다 42.1% 증가했다. 이는 대통령이 나서서 ‘전봇대’ 문제를 떠들썩하게 해야만 정책 당국이 부랴부랴 전봇대를 뽑는다는 증거다. 이런 뒷북행정은 그나마 다행이고, 더 많은 규제가 뒤편에 숨어 늘어나는 실정이다. 이번 개선안도 이 대통령이 한번 더 챙기지 않았다면 요원했을 것이다. 차제에 3년간의 진척 상황과 향후 계획을 포함해 규제 개혁 마스터플랜을 재점검할 때다.

경북 포항시와 포항시의 동해면사무소에서 교회 광고 문구가 새겨진 행정용 서류 봉투를 사찰로 배달해 논란이 일고 있다. 단순히 행정 착오 내지 실수라고 넘어갈 수도 있겠지만 공직자들의 안이한 인식에서 비롯됐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현 정부 들어 심각한 종교편향 논란 상황조차도 직시하지 못하고 탁상행정에 몰두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또 다른 사례다. 공직자들은 공복의 자세를 망각하고 시대적 명제인 규제 완화에 역주행하는 게 아닌지 자문해 봐야 한다.

김황식 총리는 그제 총리실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탁상공론이 없도록 현장을 정확히 파악하라.”고 강조했다. 또다시 공허한 주문에 그치지 않으려면 정책 당국의 근본적 변화가 수반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국민의 입장에 서서 정책을 공급할 수 있도록 쌍방향 국정 운영이 절실하다. 그러자면 공무원들이 현장으로 달려가도록 업무 방식을 바꿔야 한다. 현장에서 파악한 보고서부터 의무화하기를 당부한다.
2010-12-30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