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나라당 끝장토론 이후가 더 중요하다

[사설] 한나라당 끝장토론 이후가 더 중요하다

입력 2011-05-03 00:00
업데이트 2011-05-03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27 재·보선 패배의 충격에 휩싸인 한나라당이 어제 국회에서 의원 연찬회를 열고 당의 진로와 정국 현안 등을 둘러싸고 끝장토론을 벌였다. 비공개로 이뤄진 만큼 당 쇄신을 놓고 친이(친이명박)계의 주류와 친박(친박근혜)계, 소장·중립파 등 비주류 간에 날 선 공방이 오갔다고 한다. 당 리더십 교체 방안에 대해 주류 측은 당력을 모아야 한다는 데 목소리를 높였고, 비주류 측은 ‘주류의 백의종군’에 초점을 맞춰 입장차를 확연하게 드러냈다. 하지만 의원들의 격한 발언 속에는 한나라당이 가야 할 방향과 해법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당내 친이-친박 갈등은 대국민 약속으로 해결해야 한다.” “당·정·청 쇄신을 위해 개혁적인 인사로 비대위를 구성하자.” “당헌·당규를 개정해 내년 총선 전에 대선후보 선출을 위해 대대적으로 프라이머리를 개최해 당력을 극대화하자.” “박근혜 전 대표를 찾을 게 아니라 박근혜의 천막정신으로 가야 한다.” 등은 뼈저린 반성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이를 어떻게 실천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당·정·청의 틀 속에 당이 중심이 돼 솔선수범을 보여야 한다. 친이-친박 간의 갈등을 우선적으로 해소해야 한다. 여기에는 진정성 있는 대화와 희생정신이 전제돼야 한다. 그래서 당론으로 결정된 사안은 계파 구분 없이 뭉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국회의원 스스로도 제대로 변해야 한다. 국민이 원하는 방향으로 시대가치를 재정립해야 당도, 본인도 살아남을 수 있다. 따라서 여당은 연찬회 논의를 당·정·청 관계를 새롭게 다져 나가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재·보선 패배에 따른 충격과 혼란에서도 빨리 빠져 나와야 한다. 여당이 흐느적거리면 대통령의 국정 추진력은 급속도로 약화된다. 그건 여당과 정부 모두에게 치명적이다. 이대로 가면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또다시 국민의 혹독한 심판을 받게 된다는 것은 너무도 자명해 보인다.
2011-05-03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