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여론 눈높이 못맞춘 靑 내곡동 특검 연장 거부

[사설] 여론 눈높이 못맞춘 靑 내곡동 특검 연장 거부

입력 2012-11-14 00:00
수정 2012-11-14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명박 대통령 내곡동 사저부지 매입 의혹 수사가 오늘로 종결되지만 뒤끝이 영 개운치 않다. 청와대는 특검팀의 수사기한 연장 요청을 끝내 거부했다. 그동안 수사가 충분히 이뤄졌고, 최대한 성실하게 협조했으며, 수사가 더 길어지면 특히 엄정한 대선 관리에 악영향이 불가피하다는 것이 거부 이유다. 그러나 대선 관리를 빌미로 청와대가 특검수사 연장 요청을 뿌리친 것은 그다지 설득력을 갖기 어렵다. 수사 대상이 그만하면 됐다고 수사를 중단시킨 꼴이니 주객전도가 따로 없다.

아들 시형씨와 큰형 이상은 (주)다스 회장이 썼다는 차용증 원본 파일 제출을 거부하고, 시형씨의 서면진술서를 작성했다는 행정관이 누군지 밝히지 않았는가 하면 경호처 압수수색도 거부했다. 수사에 협조했다기보다는 애써 피해 가려는 ‘비협조적’ 자세가 두드러졌다고 보는 것이 옳을 듯하다. 그럴 요량이면 무슨 초 친 맛에 야당이 추천한 특검을 받아들였는가. 대통령 가족이 연루된 사안인 만큼 특검을 통해 한점 의혹 없이 진위를 밝히라는 게 국민의 뜻임은 청와대도 모르지 않을 것이다. 두 눈 시퍼렇게 뜨고 지켜본 국민으로서는 의아하기 짝이 없는 노릇이다.

특검수사에 대한 승인권한은 대통령에게 있으니 청와대의 대응을 법적으로 문제삼을 수는 없다. 하지만 일국의 대통령이 구차스러운 일로 여론의 도마에 오르고 뒤처리 또한 꺼림칙하다면 두고두고 화근이 될 수밖에 없다. 특검은 막을 내리지만 의혹의 불씨는 좀처럼 사그라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청와대 스스로 진상 규명에 발벗고 나서 의혹을 털고 갔어야 했다. 벌써부터 정치권은 특검수사를 놓고 제각각 입맛대로 해석하며 공방을 벌이고 있다. 새누리당은 “충분한 조사가 이뤄졌다.”는 입장이지만 특검을 추천한 야권에서는 “국민 기만”이라며 공세에 나섰다. 여야 공히 부질없는 정쟁을 자제하는 것만이 그나마 ‘결과적 부실 특검’의 오명을 더는 길임을 명심하기 바란다

2012-11-1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