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신규 확진자 1078명, ‘굵고 짧은’ 3단계 격상 필요하다

[사설] 신규 확진자 1078명, ‘굵고 짧은’ 3단계 격상 필요하다

입력 2020-12-16 21:28
업데이트 2020-12-17 04: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제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078명이나 됐다. 지난 13일 1030명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사흘만에 또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조치가 효과를 거두지 못한 방증이니 국민들의 불안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하루라도 빨리 거리두기 3단계로 격상해야 된다는 요구가 여기저기서 터져 나온다.

지난 8일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2.5단계로 격상할 때도 늦장 대처라는 비판이 만연한 가운데, 그래도 감염 확산세가 진정됐으면 하는 염원이 있었다. 지금은 가족과 지인을 통해 일상 속에서 감염이 이뤄지니 언제, 어디서 감염되더라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가 됐다. 서울 등 수도권뿐 아니라 부산, 대전, 강원 등 지방도 확산세가 빠르게 진행된다. 더구나 25일 성탄절과 연말연시를 맞아 파티룸, 호텔방 등의 예약이 꽉 찼다니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신규 확진자가 현재의 1000명대가 아니라 수천명, 1만명대로 기하급수로 불어날까 하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금 확산세를 꺾지 못하면 거리두기 3단계 격상을 검토해야 할 것”이란 대통령의 주문도 5일이나 지났다. 거리두기 3단계는 경제활동과 일상생활의 마비를 각오해야 할만큼 최후의 선택지이다. 50여만개의 다중이용시설 운영이 중단되고 10인 이상의 모든 집합 행위가 금지된다. 자영업자를 비롯한 취약계층의 경제적 고통은 불을 보듯 뻔하다.

정부 발표에 따르면 백신과 치료제의 상용화는 빨라야 내년 3월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때까지 슬기롭게 버티며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지 않으려면 선제적인 거리두기 3단계 격상이 필요하다. 지금 당장 확산세를 꺾지 못한다면 상상하기조차 싫은 희생을 치러야 할지도 모른다. 최악의 고통을 피하기 위한 ‘굵고 짧은’ 봉쇄에 국민도 공감할 것이다.

2020-12-17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