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의 날개달린 세상] 소리로 숲을 채우다/탐조인·수의사

[주인의 날개달린 세상] 소리로 숲을 채우다/탐조인·수의사

입력 2022-08-28 20:18
업데이트 2022-08-29 03: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2022. 5. 경기 파주 삼릉에서 만난 되지빠귀.
2022. 5. 경기 파주 삼릉에서 만난 되지빠귀.
초록잎이 햇살에 반짝이는 싱그러운 숲에 새소리가 가득하다. 너무나도 맑고 청아하면서도 멀리까지 들리는 소리다. 소리의 주인공이 궁금해 주변을 둘러보는데 찾기가 어렵다. 그때 땅바닥 낙엽 위를 콩콩 뛰어다니는 작은 새가 보인다. 등은 짙은 회색이고 배 옆쪽과 부리는 연한 당근색인 되지빠귀다. 목 앞부분까지 미끈한 회색이면 수컷, 목 앞부분에 점점이 검은 무늬가 있으면 암컷이다. 바닥을 통통 튀듯 돌아다니다가 낙엽을 들추기도 하고 흙을 쪼기도 하면서 야무지게 벌레를 찾아 먹는 모습이 무척 귀엽다. 숲에 가득한 그 새소리는 바로 되지빠귀 소리였다.

되지빠귀는 참새보다는 약간 크고 직박구리보다는 좀 작은 여름철새다. 노래해서 짝을 찾는 다른 작은 새들처럼 작은 체격에 비해 크고 아름다우면서도 우렁찬 소리에 깜짝 놀라게 된다. 입을 벌리고 목이 울렁울렁 움직이는 게 보이는데도 분명 저 소리는 온몸을 채우는 공기주머니에서 나오는 것일 거라 생각한다. 그래 봤자 한 줌도 안 되는 그 작은 몸에서 그런 소리가 난다는 게 신비롭고 놀랍다.

“동전 한 닢으로 방 안을 채울 물건이 무엇일지 맞혀 보아라.” 훈장님이 수수께끼를 내자 지혜로운 학생이 초를 사와 불을 밝혀 방을 가득 채운다는 이야기. 숲에서 되지빠귀 소리를 들을 때마다 그 전래동화가 생각난다. 초는 빛으로 방을 채우고, 되지빠귀는 노래로 숲을 채우는 느낌이랄까? 꾀꼬리도, 큰유리새도, 흰눈썹황금새도 모두 숲에서 짝을 찾느라 노래하는데 유독 되지빠귀 소리가 숲을 압도하는 이유는 모르겠다. 그 숲에 되지빠귀가 많아서 여기저기에서 동시에 “픽미픽미 픽미업” 노래를 하기 때문인 건지, 되지빠귀의 노래 자체가 좀더 공간을 넓게 감싸는 느낌을 주는 소리 때문인 건지.

되지빠귀 노래로 가득한 그 숲에 들어가면 나를 둘러싼 그 노랫소리가 비눗방울처럼 나를 감싸 두둥실 띄워 주는 느낌이 든다. 짝을 찾기 위해 온몸을 불사르는 간절함을 담아 노래하는데, 나는 그저 좋아서 둥실둥실 떠오르니 슬며시 미안하기도 하다.

부디 좋은 짝을 만나서 아기들 잘 키워 내년에도 또 이 숲을 노래로 채우라고, 생육하고 번성해 땅에 충만해지라고 축복하며 미안함을 슬쩍 덮는다.

2022-08-29 2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