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광고 엿보기] 운전자를 양성하는 자동차강습소 광고/손성진 논설고문

[근대광고 엿보기] 운전자를 양성하는 자동차강습소 광고/손성진 논설고문

손성진 기자
입력 2020-10-18 17:04
업데이트 2020-10-19 03: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운전을 배우려는 사람을 모집한다는 매일신보 1920년 5월 28일자 경성자동차강습소 광고(부분).
운전을 배우려는 사람을 모집한다는 매일신보 1920년 5월 28일자 경성자동차강습소 광고(부분).
1900년대에 접어들어 자동차가 늘어나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들이 도로와 운전사였다. 우리나라에 자동차가 들어온 지 몇 년 되지 않았던 1908년 충남 조치원에서 전북 군산까지 도로를 만들어 자동차를 운행했다는 기사가 있다(대한매일신보 1908년 12월 20일자). 운전사를 양성하려면 자동차강습소, 즉 운전학원과 면허시험 제도가 필요했다. 면허시험이 없던 당시 운전사는 운수업체이자 자동차 판매업체였던 오리이자동차에서 자체적으로 양성했다. 그 후 자동차가 증가하고 사고가 빈발하자 1915년 도로교통에 관한 최초의 법규인 자동차 취체규칙이 제정됐다. 이에 따라 운전면허시험이 처음으로 시행됐다.

1919년에는 최초의 운전학원인 경성자동차강습소가 서울 황금정 3정목(을지로 3가)에서 문을 열고 신문에 광고를 냈다. 경성자동차강습소는 도쿄자동차학교의 분교였고 부산에도 분교가 있었다. 운전을 할 수 있는 사람이 극히 드물었을 때 운전사는 월급을 대졸자의 두세 배나 받던 ‘귀하신 몸’으로 젊은이들이 선망하던 직업이었다. 그 때문에 강습소에는 운전을 배우려는 사람들이 물밀듯이 밀려들었다. 경성자동차강습소는 시설도 좋고 조선인 강사도 있어 입학을 원하는 학생들을 다 수용하지 못할 정도였다(동아일보 1920년 4월 24일자). 광고는 2층 건물을 배경으로 한 운동장에 자동차 8대의 안과 옆에 강사와 학생으로 보이는 사람들을 배치해 시선을 끌었다. 제목은 겹느낌표를 써 “보시오!! 당당한 경성자동차강습소의 진용!!”이라고 붙였다. 광고 문안에는 “관 안에 든 학문은 실제를 당해서는 결코 후에 무용하나니 장래 자동차계에 웅비하고자 하는 청년은 모름지기 실력위주의 본소에서 배워서 현재 각자가 받은 행복보다 더욱 다대한 행복세계를 창조할 것이다”라고 돼 있다.

입학자격은 만 16세 이상의 소학교나 보통학교 졸업자이며 한 달에 두 번 모집해 두 달간 운전을 가르쳤다. 주야로 운전을 배우는 1개월 속성 과정도 있었다. 학비는 132원이었는데 쌀 10가마를 사고도 남을 만한 큰돈이었다. 1920년 6월 치러진 경기도청 운전면허시험에는 시험관이 1명뿐인데 응시자는 76명이나 몰렸다(매일신보 1920년 6월 23일자). ‘실지(實地·실기)시험’을 먼저 치르고 ‘학술(필기)시험’을 보게 했다. 여성 합격자도 있었는데 전북 전주 출신인 최인선이 최초의 교습생이자 최초의 여성 운전사였다. 1921년 9월 개업한 평양자동차상회는 경성자동차강습소에서 운전을 배운 여성 운전사 23세 이경화를 채용했는데 평양에서 운전을 한 최초의 여성이었다.

2020-10-19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