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이한의 종횡무애] 집주인의 품격

[조이한의 종횡무애] 집주인의 품격

입력 2020-08-25 20:14
수정 2020-08-26 01: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조이한 아트에세이스트
조이한 아트에세이스트
독일에서 살 때다. 유학 막바지에 한 집에서 5년을 살았다. 그 집은 베를린에서도 중심부에 있었고 바로 옆에 옛 왕들의 사냥터인 티어가르텐이 펼쳐져 있었다. 이탈리아 건축가가 설계한 그 집은 건축과 학생들이 견학을 올 정도로 베를린 건축사에서 의미 있는 건물이었다. 3층짜리 6개 건물로 이루어진 그 집은 복층 구조인 1, 2층에 집주인들이 살고 3층을 임대 주는 형식이었다. 특히 3층엔 테라스 선룸이 있었으며 슈프레강이 보였다. 작지만 밝고 예쁜 집이었다.

그 집은 보증금도 없었고 임대료도 다른 ‘사회주택’과 비슷했다. 전 세입자가 친구여서 우리가 넘겨받을 수 있었다. 가난한 유학생이 그렇게 좋은 집에서 살 수 있었던 데는 베를린 주택 정책의 부분적인 장점이 깔려 있다.

집주인들은 주택조합을 형성했는데 시에서는 부족한 자금을 보조해 주는 대신 한 층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임대하라는 조건을 내걸었다. 집주인들은 가장 전망이 좋은 3층을 내놓았다. 임차인을 뽑는 기준은 ‘이 집이 가장 절실하게 필요한 사람’이었다. 전 세입자는 수십 대 일의 경쟁률을 뚫고 그 집을 얻었다. 집주인 말에 따르면 독일 사람들이 외국인을 꺼리는 경향이 있고, 특히 동양인 유학생은 집을 구하기가 쉽지 않을 거라서 그들을 선택했다고 한다. 베를린시의 주택 정책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집주인의 배려, 전 세입자와의 친분으로 나는 유명 건축가가 섬세하게 신경 써서 지은 훌륭한 집에서 수년 동안 임대료 한 번 올리지 않고 편안하게 살 수 있었다.

독일의 주택 사정이 언제나 좋은 것도 아니고 통독 직후엔 집 구하기가 어려웠던 적도 있었으며 지금은 임대료가 올라 살기가 예전 같지 않다는 말을 듣긴 하지만 사회주택이라는 제도가 있는 한 가난한 이들도 최소한의 인간적 품위를 지키며 살 수 있다는 건 분명하다. 특히 위에 언급한 그 집의 예는 매우 인상적이어서 우리나라도 그렇게 살 수 있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가져 보기도 했다. 그 집에 사는 동안 가난한 세입자라고 눈치 주거나 차별을 받아 본 일은 없었다.

그런 주택조합의 예가 한국에서도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했지만 오래전부터 들려오는 소식은 그다지 긍정적이지 않다. 이미 아파트는 차고 넘치지만 또다시 대규모 아파트를 짓는다. 집이 모자라서 집을 못 사는 게 아니라는 걸 정책 입안자들만 모르는 것 같다.

임대주택 비율을 정해 놓고 건축 허가를 내주겠다는 정책은 반갑지만, 난관에 부딪힌 건 어이없게도 가난한 이들과 함께 살 수 없다는 ‘집주인’들의 반대다. 그러므로 누구나 인간적 품위를 유지하며 살 수 있기 위해서는 정책만으로는 안 된다. 집값 떨어지는 걸 막기 위해 가난한 이들과 살 수 없다는 ‘집주인’들의 인식. 결국 더불어 사는 것은 주택정책에 더해 집주인의 품격이 결정한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게 되는 것이다. 지금이 바로 공공의 정책과 개인의 윤리가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어야 할 때다.
2020-08-26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