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정성을 다해 공덕을 쌓는 마음/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정성을 다해 공덕을 쌓는 마음/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입력 2022-07-31 20:04
업데이트 2022-08-01 02: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백중날이 다가온다. 음력 7월 15일을 백중, 혹은 중원, 망혼일이라고 한다.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백중날을 지켜 절에서 재를 올리고 공양을 했다. 이즈음에 과일과 채소가 많이 나와서 100가지의 곡물과 과일을 차려 사당에서 천신에게 올리는 제를 지내고 잔치를 벌였다. 궁핍한 봄날을 지나 이제 과일과 곡식이 무르익는 때를 만났으니 잔치를 벌이고 싶었을 조상들의 마음도 이해가 간다. 마을 잔치를 치르기 위해 백중장이라는 장도 섰다고 한다.

백중을 ‘망혼일’이라고도 부른 이유는 돌아가신 부모의 혼을 위로하기 위해 제례를 한 데서 유래했다. 정확히 말하면 불교의 ‘우란분절’이 중국에서 명절화한 것이니, 백중이 불교에서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란분절은 아귀 지옥에 떨어져 고통받는 어머니의 영혼을 구하기 위해 불제자 목건련이 7월 15일에 오미백과(五味百果)를 공양했다는 이야기에서 비롯됐다. 어머니를 구하고 싶은 안타까운 심정을 생각하면 목건련이 얼마나 공을 들여 상을 준비했을지 짐작이 가고도 남는다.
이미지 확대
숭옥, 미얀마 18~19세기, 국립중앙박물관
숭옥, 미얀마 18~19세기, 국립중앙박물관
모든 종교는 무소유를 주장하고 베풀기를 강조한다. 불교 역시 불전에 공양하고, 타인에게 보시해 선업을 쌓기를 권한다. 그런데 종교의 건축과 미술이 세속에서는 값진 재료로 화려하고 고급스럽게 만들어졌다는 점은 아이러니하다. 미얀마의 불교 공양구인 숭옥이 그렇다. 높은 그릇 받침과 탑처럼 뾰족한 뚜껑을 갖춘 특이한 용기를 미얀마에서는 숭옥이라고 부른다. 가야나 신라 토기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나팔을 엎어 놓은 듯한 기대 위에 둥근 그릇을 만들어 속에 각종 공양물을 담게 만들었다. 이 숭옥은 먼저 그릇 전체에 주칠을 하고 그 위에 정교하게 장식 무늬를 만든 후 금칠을 해서 상당히 화려하게 보인다.

동남아 일부에서 칠기가 발달했는데 그중 한 곳이 미얀마다. 칠기는 기본적으로 옻나무 수액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옻나무가 자라는 지역에서만 만들 수 있다. 옻칠 용액을 만드는 과정도 길고 칠기를 만드는 일도 고된 작업이지만, 옻칠을 하면 내구성도 높아지고, 그릇에 광택을 주어 보기에도 좋기 때문에 다양한 재료에 활용됐다. 15세기 이후 만들어지기 시작해 왕실이나 사원에서 애용된 미얀마의 칠기는 우리나라의 나전칠기와는 다르지만 그 화려함과 정교함은 남다르다.

미얀마 칠기는 겉면에 조각을 하고 색유리를 붙여 화려하게 꾸민 것이 많다. 가는 선으로 무늬를 파고 다른 색 안료로 선을 메우는 일종의 상감기법을 쓰거나, 반죽한 흙을 모양대로 붙여 장식하고 그 문양에 이 숭옥처럼 색유리를 붙이고 금칠을 해서 호사스럽게 꾸미기도 한다. 다른 나라 칠기에서는 보기 힘든 기법이다.

단색의 칠기가 주는 검박한 아름다움도 놓칠 수 없지만, 미얀마 숭옥의 찬란함도 실로 장관이다. 종교는 수행을 하고, 집착을 버리라고 가르친다. 단지 그 가르침이 호사스런 칠기를 통해 전승되고 소환된다는 점은 역설적이다.
2022-08-01 26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