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대의 방방곡곡 삶] 괴산 오일장 사람들

[김주대의 방방곡곡 삶] 괴산 오일장 사람들

입력 2020-08-04 17:36
수정 2020-08-05 01: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주대 문인화가·시인
김주대 문인화가·시인
1. 다육이 할머니의 졸음

천흥암 가는 할머니가 오일장에서 산 다육이 화분을 끌어안고 정류소 의자에 앉아 존다. 지나가던 꼬부랑 할머니가 멈추어 다육이를 바라본다. 졸다 깬 다육이 할머니는 누가 묻지도 않았는데 검지를 세우며 “마넌”이라고 말한다. 지팡이 할머니가 “비싸구먼”이라는 한마디를 다육이 할머니 졸음 위에 던져 놓고는 가던 길을 간다. 다육이 할머니는 ‘비싸구먼’까지 끌어안고 아까보다 더 무겁게 존다.

2. 닭 장수 아주머니의 상술

어미 닭 1마리와 병아리 12마리를 한 상자에 함께 넣어서 판매한다. 닭 장수 아주머니와 할아버지 손님이 실랑이한다. “야들 가족 다 13만원이구먼유.” 아주머니의 말에 할아버지 손님은 만원 깎아 12만원에 달라고 한다. 아주머니가 안 팔겠다고 하자 할아버지는 병아리 두 마리 빼고 달라고 한다. 닭 장수 아주머니가 손사래를 친다. “아이고, 참말로 잔인허시네유. 이것들이 한 가족인디, 병아리 불쌍해서 그렇게는 못 팔아유, 안 팔아유.” 아주머니는 단호했다. “하따, 만원도 안 깎아 주네. 자아, 여?어, 13만원.” 결국 할아버지는 13만원에 닭 일가족을 산다. 닭 장수 아주머니의 마지막 말이 재밌다. “고마워유. 키워서 잡사 봐유, 맛은 차~암 좋은 닭이니께유.” 가족은 건드리면 안 된다는 아주머니의 상업적 고집에 고개가 절로 끄덕여진다. 장 구경이 재밌다. 병아리가 불쌍하다고 해 놓고는 키워서 맛있게 드시라고 하는 닭 장수 아주머니가 참 웃겼다. 닭 가족을 좋은 가격에 판매한 아주머니를 보고 씨익 웃었더니 아주머니도 씨익 웃는다. 나보고도 닭 한 마리 사라고 해서 가지고 갈 수가 없다니까 종이상자에 모이하고 넣어 줄 테니 물만 주면 열흘도 차에 넣고 다녀도 된다고 한다. 아이고, 닭똥 냄새는 어쩌라고. 결국 사지 않겠지만 한참 행복한 고민을 한다.

3. 괴산 할머니의 길 안내법

현금을 좀 찾을 요량으로 농협을 찾아도 찾을 수가 없다. 지나가는 할머니께 농협 가는 길을 물어본다. “저기요, 할머니, 농협이 어디 있는지 아시면 좀 알려 주세요.” 할머니는 나의 아래위를 한참 훑어보더니 무뚝뚝하게 대답하신다. “말 시키지 말고 따라와요.” 말 시키지 말라는 할머니의 말씀을 듣고는 무슨 영문인지 몰라 반문을 한다. “네?” “말하지 말고 따라오라고요.” 할머니는 아까보다 큰 소리로 내게 입을 다물라고 하신다. 나는 멋도 모르고 또 왜 그러시느냐는 대꾸를 한다. 할머니가 갑자기 빽 소리를 지르신다. “코로나.” 그제야 어리석은 나는 할머니의 의도를 알아차리고 입 다물고 할머니를 따라간다. 할머니는 농협을 지팡이로 가리키시고는 오던 길로 돌아가신다.

아차, 싶다. 길(道)을 가르쳐 주려고 일부러 여기까지 오신 것이다. 가시는 할머니를 부르며 인사를 드린다. “저기요, 할머니이~ 일부러 여까지 오시고 고맙습니다아아~.” 인사를 드려도 할머니는 대답이 없다. 다시 할머니를 부른다. “할머니이~.” 할머니는 뒤도 돌아보지 않고, 대답도 없이 그냥 가신다. 말이 길지 않고 짧은 할머니, 명랑하지 않고 무뚝뚝한 할머니. 입보다 몸을 써서 ‘道’를 가르쳐 주신 친절한 할머니의 마을, 괴산에서는 입 다물고 조용히 따라가면 도(道)에 이를 수 있겠다.

4. 시각장애인 부부의 장 구경

흰 지팡이로 여기저기 두드리며 사람들 사이를 빠져나가는 시각장애인 남편의 팔을 잡고 시각장애인 아내가 말한다. “자기랑 장 구경하는 게 제일 좋아.” “뭐가 그렇게 좋아?” 젊은 남편이 깜깜하게 묻는다. 남편의 팔을 꼭 잡은 젊은 아내가 환하게 답한다. “그냥 보기만 해도 싱싱하잖아.” 젊은 부부의 얘기를 엿들으며 마음의 눈으로 보면 모든 게 다 보일 것 같다는 생각을 한다.
2020-08-0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