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붕우의 뒷모습 세상] 미국의 전쟁영웅이 된 한국 경주마

[이붕우의 뒷모습 세상] 미국의 전쟁영웅이 된 한국 경주마

입력 2024-06-16 23:55
업데이트 2024-06-16 23: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름은 ‘여명’(黎明). 새벽빛을 뜻한다. 1948년생에 키 142㎝, 몸무게 410㎏의 짙은 갈색 암말. 그녀가 6·25 전쟁에 참전한 미군 해병 1사단에 입대한 건 1952년 10월 네 살이 되던 해다.

당시 전선에선 치열한 고지전이 전개되고 있었다. 미군 해병 무반동총 소대장이었던 패더슨 중위는 탄약 운반용 말을 구하고자 서울 말 훈련소를 찾아갔다. 주인은 지뢰로 다리를 잃은 누이의 의족이 필요해 서슴없이 250달러에 팔았다. 그녀 운명의 전환점이었다.

갑자기 전쟁의 한복판에 선 그녀는 포화 속에서 탄약과 부상자를 실어 날라야 했다. 처음에는 총과 포탄 소리에 놀라기도 했지만 곧 익숙해졌고 고지를 오르내리면서 모든 걸 혼자 해냈다. 결국 용감한 병사 래클러스라는 근사한 이름까지 얻었다. 한미 해병과 중공군이 싸운 베가스 전초기지 쟁탈전(1953. 3. 26~28)에서는 큰 전공을 세웠다. 홀로 하루에 무반동총 탄약 386발을 실어 날랐다. 개당 10㎏이 넘는 탄약 4~8개를 등에 짊어지고 고지를 51번 왕복했다. 56㎞에 이르는 거리다. 작전은 3일 내내 지속됐다. 전투 중 왼쪽 눈, 왼쪽 측면 파편상 등 두 번의 부상을 입었다. 이 전투 공로로 상병 계급장을 달았다.

전쟁이 끝난 1954년 4월 10일 하사로 진급했다. 해병을 따라 미국으로 건너가 캘리포니아 캠프펜들턴에서 생활했다. 1959년 8월 31일 중사 진급식은 해병대사령관이 직접 주관했다. 19발의 예포를 쏘고 해병 1700명이 축하 퍼레이드를 해 줬다. 1960년 11월 10일 퇴역해 국가연금으로 제공되는 숙식을 즐기며 여생을 보내다 철조망에 찔리는 사고로 1968년 4월 13일 사망했다. 나이 스무 살이었다.

그녀는 많은 상을 받았다. 전투 부상으로 두 번의 퍼플하트상과 전투유공 해병 모범 메달, 동성 대통령 부대 표창, 국방 공헌 메달, 한국전 참전 메달, 유엔한국전참전 메달, 해군무공훈장, 그리고 한국 대통령 표창 등등. 1997년에는 미국 라이프지가 선정한 미국 100대 영웅에 오르기도 했다.

내가 그녀를 만난 건 2018년 미국 버지니아 해병대 국립박물관을 방문했을 때다. 장진호 참전비를 둘러보다 웬 말 동상이 눈에 띄어 자세히 보니 바로 ‘래클러스’ 아니 ‘여명’이었다. 동판에 새겨진 사연을 읽고 깊은 감명을 받았다.

말 한 마리가 이 땅에서 벌어진 전쟁 중에 운명처럼 만난 미군을 따라 전투에 참가해 전공을 세웠고, 미국으로 건너가 영웅 대접을 받고 국가연금으로 생활하다 생을 마감했다. 이제는 동상으로 남아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주고 있다. 말이 만약 한국군으로 입대했었다면 어땠을까? 영웅으로 남았을까?

우리 6·25 전쟁 참전 노병은 어떠한가. 휴전 당시 90만명에서 현재 3만 9200여명으로 줄었다. 85%가 90세 이상이다. 대다수 월평균 42만원의 참전수당으로 생활한다. 지난 대선에서 정치의 관심이 된 병사 봉급 200만원의 5분의1 수준이다(현재 병장 125만원). 금액으로 보나 속도로 보나 퍽 대조적이다. 정치 표심보다 국민 진심을 향해 노병은 말한다. “자유와 평화는 결코 공짜가 아니었습니다. 그걸 지키기 위해 많은 것을 희생해야 했습니다. 이를 기억해 주기 바랍니다.”

예나 지금이나 유월은 언제나 푸르다. 핏빛 유월을 푸르게 지킨 노병의 뒷모습에 대한민국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이 있다.

이붕우 작가·전 국방홍보원장

이미지 확대
이붕우 작가·전 국방홍보원장
이붕우 작가·전 국방홍보원장
2024-06-17 2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