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런 지적들 속에서 잘 정리된 국어사전을 뒤적이다 보면 낯선 듯하면서도 낯익은 풍경 하나가 발견된다. 대부분의 국어사전들이 뜻풀이에서 ‘이르다’를 즐겨 쓴다. 예를 들면 “손주: 손자와 손녀를 아울러 이르는 말”과 같이 안내한다. ‘이르다’ 대신 일상의 말들인 ‘가리키다’, ‘뜻하다’, ‘나타내다’를 쓰거나 상황에 맞게 ‘말하다’라고 표현하길 꺼린다. 어색한 것은 아니기에 꼼꼼한 독자들도 국어사전 편찬자들 사이에서 이어져 온 ‘용어’이겠거니 하고 넘겨 버린다. 오랜 전통이 돼서 새로 뜻풀이를 하는 경우에도 습관처럼 ‘이르다’가 적힌다.
‘이르다’는 ‘말하다’, ‘뜻하다’ 등보다 무게감이 조금 다르다. 이전 문장들에서는 옛날 문헌이나 성인들의 가르침을 전할 때 ‘옛 문헌에 이르기를’, ‘공자가 이르기를’이라고 많이 표현했다. 국어사전의 뜻풀이에 ‘이르다’가 흔한 것은 보이진 않지만 전통과 여기에 따르는 권위를 담으려는 태도도 있을 것이다.
‘등’은 두 개 이상의 사물을 나열할 때 쓰인다. ‘사과, 배, 대추 등 과일’에서처럼 일상의 문장에서 흔한 게 ‘등’이다. 하지만 국어사전의 뜻풀이에선 ‘등’ 대신 ‘따위’가 많이 보인다. ‘이르다’가 꽤나 점잖아서 눈에 띄었다면 ‘따위’는 ‘당혹’스럽게 눈길을 끈다. ‘냉장고, 텔레비전, 세탁기 따위’, ‘화력, 수력, 조력, 풍력 따위’ 식이다. 어떤 이들은 이것을 보고 새로운 발견에 ‘기쁨’을 얻기도 한다. 그렇지만 이곳의 ‘따위’에는 비하의 뜻이 없다. 단지 앞에 나온 것들이 나열됐음을 중립적으로 알릴 뿐이다. 국어사전들은 ‘따위’와 같은 뜻이 있는 ‘등’으로 바꿀 뜻이 없어 보인다. 한데 개운치 않아 하는 독자들도 있다. ‘너 따위’니 ‘괴로움 따위’의 ‘따위’와 겹쳐 보이기 때문이다. ‘따위’에서 파생돼 나온 ‘그따위’, ‘이따위’, ‘저따위’ 같은 말들이 가까이 있기도 하다.
지난주 국회에서도 “말 그따위로 할래”라는 말이 나왔다. 이전 방식의 막말이 또 국회와 정치의 품위와 권위를 떨어뜨렸다.
2020-08-24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