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인사/박홍기 논설위원

[길섶에서] 인사/박홍기 논설위원

입력 2011-03-09 00:00
수정 2011-03-0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본 도쿄에 근무할 때 이따금 일본 이발소를 찾았다. 코리아타운에 교민 이발소도 있지만 가깝고 경험도 할 겸해서다. 들어서자 “어서 오십시오.”라며 깍듯하게 45도 인사를 했다. 흔히 볼 수 있는 광경이다. 기다리다 보니 가는 손님에게 “안녕히 가십시오.”라며 90도 허리를 숙이지 않는가. 오는 손님보다 가는 손님에게 더 정중하게, 더구나 볼 수도 없는데.

익숙하지 않은 터라 조심스레 묻자 “고마움의 표시이기도 하지만 남아 있는 손님들을 위한 예우”라고 했다. 나머지 손님들에게 ‘보지 않는데도 저렇게 정성을 보인다면’이라는 인식을 심어줘 훨씬 더 큰 만족을 줄 수 있기 때문이라는 얘기다.

옷가게든, 제과점이든 들렀다가 그냥 나올 때 역시 상냥하게 웃으며 “또 오십시오.”라는 인사를 받곤 했다. 많고 많은 가게 중에 자기 가게를 찾아준 손님은 비록 빈손으로 가더라도 ‘언젠가는 다시 들를 수 있는 고객’인 만큼 감사의 마음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맞다. 설령 상술이면 어떤가, 기분 좋으면 그만이지.

박홍기 논설위원 hkpark@seoul.co.kr
2011-03-0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