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행복지수/최광숙 논설위원

[길섶에서] 행복지수/최광숙 논설위원

입력 2012-01-12 00:00
수정 2012-01-12 00: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후배가 말했다. 남편 출근시키고, 학교 가는 아이들을 배웅한 뒤 아파트 현관문이 딸깍 닫히는 소리를 들을 때 가장 행복하단다. 그때부터 아이들이 학교에서 돌아올 때까지 온전히 자신만을 위한 시간을 보낼 수 있어서라고 한다. 그러다 아이들이 귀가하기 한 시간 전인 오후 2시쯤 되면 행복지수가 급격히 떨어진다고 했다. 그만큼 주부들의 하루 일과가 가족들에 얽매여 있다는 얘기일 터.

그러고 보니 나 스스로 행복지수를 생각해본 적이 별로 없다. 자신이 얼마나 행복한지를 스스로 측정하는 행복지수. 출퇴근을 반복하는 일상 속에 함몰돼 있다. 하루 중 언제 행복지수가 높아지고 떨어지는지도 생각해 보지 않았다. 나아가 내 인생에서 언제 행복한지, 그렇지 않은지도 잘 모르겠다. 모든 일에 무덤덤하다.

직장인들 대부분이 그렇지 않을까 싶다. 열심히 일하지만 분주하기만 할 뿐 자신을 되돌아보는 시간을 갖지 못한다. 하루하루 매 순간 행복하게 살려면 우선 자신을 성찰하는 시간이 필요한 것 같다.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2-01-1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