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조화의 방향/안미현 논설위원

[길섶에서] 조화의 방향/안미현 논설위원

입력 2013-06-19 00:00
수정 2013-06-19 00: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상가에 갈 때마다 고민스러운 게 있다. 조화(弔花) 때문이다. 대개는 빈소 입구에 상주가 미리 마련해둔 국화가 있다. 밝게 웃고 있는 영정 속의 망자(亡者)에게 국화 한 송이를 바치려다 순간, 멈칫했던 맨 처음의 기억이 지금도 선명하다. 조문객들의 조화가 모두 나를 향해 있었기 때문이다. 이를 어쩌나…. 혼자만 방향을 거스를 수 없어 손에 쥐고 있던 국화를 뒤집었다.

그때부터였다. 상가에 가면 조화의 방향을 살피게 된 것은. 아주 가끔 망자를 향해 도열돼 있기도 하지만 거개는 조문객 쪽을 바라보고 있다. 궁금해서 예법을 찾아보았다. 향과 달리 헌화의 방향은 딱히 정해진 원칙이 없었다. 그저 앞사람의 방향을 무심코 따르는 게 순리인 듯싶었다. 하지만 왜 열에 여덟은…. 아마도 줄기 끝을 감싼 은박지나 맨살의 꽁다리보다는 새하얀 꽃송이가 수북하게 조문객 쪽으로 향하고 있어야 보기에 훨씬 좋기 때문이리라. 망자도 그걸 더 좋아할지 모른다는 생각을 하면서도, 마지막 떠나보내는 순간까지도 ‘산 자’가 우선인 것 같아 매번 마음이 별로다.

안미현 논설위원 hyun@seoul.co.kr

2013-06-1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