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사립탐정/박찬구 논설위원

[길섶에서] 사립탐정/박찬구 논설위원

입력 2014-03-25 00:00
수정 2014-03-25 03: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흙먼지 운동화와 면바지, 눅눅한 바바리코트…. K를 처음 만난 건 1993년 초여름 경기 화성 인근 찻집에서였다. 직접 작성한 연쇄살인의 사건별 특징과 주변 약도 등을 한 장씩 펼쳐 보였다. 주민 증언과 사건 분석까지, 수십 차례 발품의 흔적이었다.

‘사립탐정’, 40대 후반의 K는 자칭했다. 어릴 때부터 탐정소설에 빠졌다. 부인이 의류업을 하는 미국 애틀랜타에서 서울까지 자비를 들여 오갔다. 단지 ‘사건을 해결하고 싶어서’였다. 서울 도심 노파 살인 사건 등의 해결에 단서도 제공했다.

K의 ‘무기’는 고향 후배 경찰관들이었다. 사건 주변 정황을 귀동냥하고, 수사선상에 오른 인물들의 주변을 캐묻기도 했다. ‘탐정’ K가 지목한 용의자는 검·경 수사를 받다가 우여곡절 끝에 물증 부족으로 풀려났다. 이후에도 K는 여대생 실종, 부녀자 성폭행 살인 사건 등을 맴돌았다.

사립탐정이 신직업의 하나로 육성된다고 한다. 탐정본색(本色)을 잘만 활용하면 권위와 영역을 다투는 폐쇄 집단에 자극과 활력이 될 수 있을 테다. 소식이 뜸했다. K가 궁금하다.

박찬구 논설위원 ckpark@seoul.co.kr
2014-03-2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