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여름의 맛/황수정 논설위원

[길섶에서] 여름의 맛/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17-07-16 21:52
수정 2017-07-16 21: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등짝만 한 파초 잎에 빗방울 듣는 소리가 좋다. 또닥또닥 떨어지는 낮은 소리는 단정하고, 꺾일 듯 우둑우둑 장대비를 받아 내는 높은 소리는 도도하다. 여름을 건너는 품위로는 세상의 이파리들 중에서 ‘갑’이 아닐까 한다.

양푼만 한 호박잎도 여름비를 맞는다. 울타리 아래 납작 엎드려 빗발에 튀는 흙탕물까지 뒤집어쓴다. 곧이곧대로만 보자면 ‘을’은커녕 ‘졸’이다.

우비 두른 할머니가 육교 발치에서 호박잎을 판다. 못 보던 좌판, 고무 대야에 넘실대는 호박잎은 한눈에도 산지 직송. 아침저녁 장차게 뻗는 호박잎을 쌈짓돈 만들 욕심에 솎아 왔을 게다. 손톱에 푸른 물이 들도록 껍질을 벗겨서는 서른 장 곱게 묶어 천원.

멈춰서는 발길이 뜻밖에도 많다. 호박잎의 쓰임새를 알고 그 맛을 기억하는 사람들이다. 추억의 교집합으로 단단히 묶어 영혼을 쓸어 주는 것은 시간이 흘러도 힘이 세다. 집집마다 오늘 저녁 밥상에는 파릇이 쪄 낸 호박쌈에 강된장이 짜글짜글 끓어오르겠지.

내 손에도 호박잎 두 묶음. 우리 집 화단의 귀족 파초가 죽었다 깨어나도 이길 수 없는 것. 그리운 맛, 여름의 맛.
2017-07-1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