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매실을 놓치다/황수정 논설위원

[길섶에서] 매실을 놓치다/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18-07-22 22:42
수정 2018-07-22 23: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수리를 데이는 염천에도 내 마음은 놓쳐 버린 유월에 걸려 있다. 청매실, 황매실이 자리를 바꾸며 소란스럽게 계절을 건너는 동안 한 상자쯤 집 안에 들이지 못한 것이 후회막급이다. 올해는 꼭 매실청을 담가 보자, 주둥이 꽁꽁 싸맨 항아리를 베란다 구석에라도 밀쳐놓고 세월을 익혀 보자. 시답잖은 욕심이 내 딴에는 옴팡졌었다.

눈 뜨고 매실을 놓친 ‘뒷북’들한테 매실과 설탕이 요령껏 버무려진 플라스틱 단지를 인터넷에서 팔고 있다. 싱거운 장삿속에 넘어가 줘야 할지.

마당 있는 집을 꿈꾸고는 한다. 시큼털털한 유월의 매실알이 칠팔구월의 항아리 안에서 들큼해져서는 엄동을 곰삭인 힘으로 다시 유월을 건너는, 돌고 돌아 둥글어지는 마당집.

작가 이태준은 웃어른 없는 집에 나이 든 물건조차 곁에 없으니 거만스러워진다고 했다. 매실청 단지를 마당 둥근 집 풋그늘에서 오래 익히고 싶다. 때늦은 마음은 어른이 그리워진 탓일까. 풍상을 삼켜 진액을 내리는 매실의 일이 사람 사는 일과 한가지여서일까.

까무러쳐도 시간을 견뎌야 그렇게 되는 일이 있다는 것, 뜸이 들면 매듭은 풀린다는 것, 그리워야만 속속들이 익는다는 것. 매실을 놓치지 말았어야 했다.

황수정 논설위원 sjh@seoul.co.kr

2018-07-2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