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단체 사진/이동구 수석논설위원

[길섶에서] 단체 사진/이동구 수석논설위원

이동구 기자
입력 2020-09-09 20:52
수정 2020-09-10 02: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빛바랜 사진 한 장. 40여년 전 집안의 형제들이 한자리에 모여 함께 찍은 기념사진이다. 그때도 명절이나 제사 때가 아니면 집안 형제들이 한자리에 모이기가 그리 쉽지는 않았다. 다들 생업에 바쁜 데다 객지에서 생활하는 형제도 있었던 터라 모두 함께 모여 사진 찍을 기회는 흔하지 않았다. 어느 추석 날 차례와 성묘를 마친 오후 동네 사진관을 찾아 함께 찍은 그 사진은 집안 형제들이 다 같이 찍은 유일한 사진이 됐다.

집에 홀로 있는 동안 우연히 뒤져 본 학창 시절 사진첩에는 대부분이 단체 사진이다. 삼삼오오 모여 다니던 친구들과 같은 반 동기생들의 모습이 몇 안 되는 사진에 담겨 있다. 교복을 입은 까까머리 친구들도 뒤엉켜 웃고 있고, 초등학교 친구들은 순박한 표정으로 졸업 사진 한 장에 담겨 있다. 사진 한 장이 잊고 있었던 그때의 기억을 떠올리게 했다.

이제는 사진관을 찾을 일이 거의 없다. 여권이나 구직 서류용 등을 제외하면 사진은 거의 휴대전화로 찍는다. 스마트폰의 화질이 워낙 좋은 데다 편리하고 언제 어디서든 쉽게 찍을 수 있다. 디지털 형태로 보관도 쉽다. 세월이 흘러도 색이 바래거나 없어지지 않는다지만 왠지 허전하다. 인화된 사진처럼 정감이 느껴지질 않는다.

2020-09-1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