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코로나 레드/이종락 논설위원

[길섶에서] 코로나 레드/이종락 논설위원

이종락 기자
입력 2020-10-18 20:20
업데이트 2020-10-19 03: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폴란드 영화감독 크시슈토프 키에슬로프스키의 3연작 영화의 제목은 ‘세 가지 색: 블루’, ‘화이트’, ‘레드’다. 키에슬로프스키 감독은 1994년에 만든 영화 ‘레드’를 통해 박애 정신을 강조했다. 박애의 사전적 의미는 인종, 종교, 습관, 국적 등을 초월한 인간애, 휴머니즘이다. 하지만 레드가 박애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2002년 월드컵에서 태극전사들과 ‘붉은악마’가 상징색을 빨간색으로 내세웠듯이 열정을 나타낸다. 또한 종종 공포, 분노를 가리키기도 한다.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사소한 일에 짜증을 내거나 화를 내는 ‘코로나 레드’ 현상이 확산되고 있다.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가 올해 3·5·9월 3회에 걸쳐 코로나와 관련한 국민 정신건강 실태를 조사한 결과 ‘짜증과 화’ 지수가 9월 조사에서 증가했다. 감염병 발발 초기인 2~3월에는 불안이 주된 정서여서 ‘코로나 블루’가 팽배했다면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분노 감정’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내 주위를 둘러봐도 모르는 사람이 다투는 모습을 심심찮게 목격한다. 며칠 전에는 음식물을 가지고 탄 여성 승객과 버스기사가 욕설을 해 대며 싸워 승객들이 말렸다. 코로나 피로감이 쌓여 가는 요즘, 서로 자제하고 배려해야 할 때라는 사실을 실감한다.

2020-10-19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