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천연기념물 가로수/서동철 논설위원

[길섶에서] 천연기념물 가로수/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입력 2020-12-02 20:46
업데이트 2020-12-03 00: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가을 ‘서울미래유산 그랜드투어’에 몇 차례 참가했다. 구로역에서 신도림역으로 경인로를 따라 걸을 때는 일제강점기 심어진 플라타너스가 노거수로 자라난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여의나루길 가로수도 그랬다. 1966년 여의도 개발로 아파트 단지가 조성될 때 심어진 가로수가 이제는 짙푸른 그늘을 드리운다.

가로수를 잘라 내는 문제로 마찰이 생길 때마다 ‘가로수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해 보존하면 안 되나’ 하고 생각했다. 경인로나 여의나루길의 가로수처럼 지역이나 길의 역사를 보여 준다면 국가지정문화재로 보호하기에 충분하지 않을까. 천연기념물에도 지정제도에 더해 등록제도를 새로 둘 수도 있을 것이다.

가로수가 ‘천연’이냐는 반론도 있겠다. 하지만 천연기념물인 재동 백송이나 조계사 백송도 자연적으로 자라나지는 않았을 것 같다. 역시 천연기념물인 경남 남해 미조리의 상록수림도 방풍림이자 어부림으로 주민들이 대대로 가꾼 것이다. 담양의 메타세쿼이아길 가로수는 지정만 되지 않았을 뿐 이미 문화재다. 대구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앞길 가로수도 손색이 없다. 길을 넓히면서 가로수를 베어 내고 새로 심는 것이 아니라 이미 터를 잡은 가로수를 따라 새 길을 내는 것이 어려운가.

2020-12-03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