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학교 가는 길’/서동철 논설위원

[길섶에서] ‘학교 가는 길’/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21-04-06 20:46
업데이트 2021-04-07 01: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주 휴가를 내고 느지막이 집앞 공원으로 산보를 갔다. 공원에 맞붙은 중학교 등교시간에 경쾌한 피아노 소리가 들렸다. ‘학교 가는 길’이다. 20년도 더 전에 이 곡을 쓴 김광민과 인터뷰한 적이 있다. 그래서 요즘도 어딘가에서 그의 음악이 들리면 관심을 갖는다. ‘학교 가는 길’ 연주는 피아니스트 노영심이 1997년 펴낸 3집 ‘무언가’(無言歌)에 실렸다.

이 중학교에서는 몇 년 전까지 영화 ‘콰이강의 다리’에 나온 행진곡을 틀어 주었다. 휘파람 소리가 등장하는 제법 밝은 느낌의 음악이지만, 일본군에 포로가 된 영국군을 강제노역시키는 장면에 쓰였다. 하긴 나의 중·고교 시절을 되돌아보면 등굣길과 강제노역길은 그런대로 통하는 것 같아 웃음이 나기도 한다. 물론 개인적인 기억이다.

중·고교 때 등교 시간에는 스피커에서 ‘쌍두 독수리 깃발 아래서’가 주로 나왔다. 쌍두 독수리, 곧 머리가 두 개 달린 독수리는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왕가의 문장이다. 한국과 아무 상관없는 나라의 영원무궁을 기원하는 성격을 가진 행진곡이겠다. 여기까지 추억을 더듬자 ‘학교 가는 길’이라는 ‘우리 음악’이 ‘우리 학교’에 울려퍼지는 것이 얼마나 다행인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게 문화선진국으로 가는 과정이다.

2021-04-07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