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숲멍/서동철 논설위원

[길섶에서] 숲멍/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21-07-21 20:32
수정 2021-07-22 01: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청풍호를 따라 아름다운 길을 달리다 월악산국립공원으로 접어든다. 덕주사 주차장에서 차를 멈추니 여기서부터 산길로 1.6㎞라고 했다. 한여름, 기온이 30도를 넘었다니 어지간히 땀이 나겠구나 싶었다. 숲길에 접어드니 우거질 대로 우거진 활엽수가 해를 가린 때문인지 그늘 아래 잔잔한 바람까지 불어와 기분이 좋아졌다. 안내판에는 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이라고 적혀 있다. 사람들은 그냥 덕주사 마애불이라고 부른다. 오래전 보고 싶었지만, 산길이 부담스러웠다. 이번에 웬만큼 걸어야 하는 볼거리를 일부러 찾아나섰다.

한때 유명하다는 사찰일수록 차를 내려 한참 걸어야 하는 것이 못마땅했다. 고창 선운사도 그랬다. 주차장에서 1㎞ 남짓 걸어야 절이 나타난다. 산내암자인 미륵암도 절에서 다시 3.5㎞를 더 가야 한대서 번번이 돌아섰다가 얼마 전에야 실견했다. 변산반도의 월명암은 1.9㎞를 올라가야 했다. 등산 좋아하는 친구는 비웃겠지만, 숨이 턱까지 차올랐다.

쉽게 찾으면 쉽게 돌아선다. 어렵게 올라가면 그 노력이 아까워서라도 오래 머무는 것 같다. 덕주사 마애불 앞, 땀이 다 식고 나서도 한참을 앉아 있었다. 생각 없이 산을 바라보고 있었으니 ‘숲멍’이라고 해야 할까. 요샌 이런 게 재밌다.

2021-07-2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