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첫 수확/이동구 수석논설위원

[길섶에서] 첫 수확/이동구 수석논설위원

이동구 기자
입력 2021-07-29 22:02
수정 2021-07-30 03: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무더운 여름이면 종종 친구들과 자전거를 타고 교외의 포도밭을 들렀던 시간이 떠오른다. 나무에 주렁주렁 매달린 포도송이를 직접 따고, 맛있게 먹었던 경험은 여전히 유쾌한 기억으로 남아 있다. 더구나 얼룩무늬 교련복에 흰 운동화를 신은 채 낡은 자전거로 신나게 달렸던 포도밭 가는 길의 그 설렘, 아직도 생생하다. 그래서인지 이맘때면 잘 익은 포도를 먹고 싶은 욕구가 절로 생긴다.

산책길에 주렁주렁 열린 대추를 발견한 지 일주일 전쯤인가. 주민들이 늘 다니는 동네 산책로에 심어진 큰 대추나무에 제법 많은 열매가 차츰차츰 익어 가고 있는 게 아닌가. 푸릇푸릇한 채 씨알도 크진 않지만 모양은 제법 갖췄다. 인근에는 산사과로 알려진 작은 열매들이 붉은 색으로 단장해 가며 탐스럽게 열려 있었다.

동네를 한 바퀴 도는 산책에서 열매들을 무심코 지나쳤지만 오늘 아침엔 야릇한 유혹을 참지 않았다. 아직 풋내가 가득한 대추 열매 수십 알을 따 주머니에 넣어 왔다. 산사과도 몇 꼭지 땄다. 반바지 주머니 한쪽을 불룩하게 채우니 학창 시절 포도밭도 떠오르며 콧노래가 절로 났다. 열매를 작은 병 2개에 나눠 담은 뒤 소주 1명씩을 가득 채웠다. 직접 만들어 보는 첫 과실주. 언제쯤 맛볼 수 있을까.

2021-07-3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