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7월에 부산 아너소사이어티 225호로 가입한 후 모임에는 처음 참석했다. 국회의원 월급(세비)을 30%씩 기부하고 있다. 아무것도 없이 태어나 이만큼 누리고 사는 건 더할 나위 없는 축복이다. 사법시험에 합격했을 때 ‘내가 잘돼서 남도 잘되게 해야 남도 기뻐하겠지’라는 생각을 했었다. 그래서 모교 동아대에 매년 기부한 게 1억을 채울 수 있어 몹시 기쁘고 감사했다. 그래도 큰 어려움 없이 잘 살아가고 있으니 나눌수록 더 잘되는 축복을 받고 있다는 방증이다. 엄마를 닮아 천성적으로 측은지심이 많은 편이기도 하다. 그렇다고 아무에게나 퍼주지 않았다. 원하지만 할 수 없는 한계상황에 놓인 분들께만.”
부산의 태광산업 방직공장 ‘공순이’ 김미애는 37년 뒤인 지난 2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렇게 적었다. 초선 국회의원 3년차. 1억원 이상 기부한 사람들만이 들어갈 수 있다는 아너소사이어티, 명예의 전당에 그는 2668호로 조용히 들어갔다. 정치판에도 아름다운 사람은 있다.
진경호 수석논설위원
2022-06-2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