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셀프 뒤처리/이동구 논설위원

[길섶에서] 셀프 뒤처리/이동구 논설위원

이동구 기자
입력 2023-06-25 23:52
수정 2023-06-25 23: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른 아침 산책 중 공원 쉼터에 널부러진 쓰레기로 인해 기분이 언짢을 때가 종종 있다. 전날 밤 젊은이들이 정담을 나누며 먹은 맥주 캔과 안주 봉투 등이 그대로 남아 있곤 했다. 머문 자리를 보면 그들의 몸가짐, 생활습관도 그리 올바르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 수밖에.

요즘은 카페, 음식점 등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곳에는 대개 주문도 키오스크라는 자동 주문기에 스스로 해야 하고, 먹고 남은 음식이나 찻잔 반납 등 뒤처리도 직접 해야 한다. 소위 셀프 서비스에 젊은이들뿐 아니라 노인들조차도 웬만하면 습관처럼 익숙해져 있다.

공공장소에서 깔끔한 뒤처리가 몸에 배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간혹 쓰레기를 그냥 놔두고 가는 사람의 정신 상태가 궁금해진다. 보는 사람이 없어서일까. 쓰레기 처리할 곳이 마땅치 않아서 그랬을까. 아니면 공원에서는 굳이 셀프 뒤처리가 필요없다고 생각하는 걸까. 산책길에서 쓰레기 더미를 마주하는 날이면 하루 종일 찝찝하다.
2023-06-2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