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살, 9살, 11살 ‘세 아이 아빠’라는 사람은 댓글에서 “통신비 지원 보고 열불이 나 글을 올린다”면서 “가족 5명 가운데 4명이 휴대전화 사용 중인데 선별 지원 때문에 아무도 해당 사항이 없다. 혼자 벌어 다섯 가족 살아가는데 너무하다”고 호소했다. 그래도 이 세 아이 아빠는 돌봄지원으로 55만원을 받는데 분노한다는 점이 아이러니다.
더불어민주당과 정부, 청와대는 처음엔 17~34세 및 50세 이상 또는 65세 이상 지원안을 놓고 논의했다. 이 선별 지원안이 논란을 일으키자 지난 9일 청와대에서 회동한 이낙연 대표가 문재인 대통령에게 건의하는 형식으로 통신비 지원 확대를 요청하고, 문 대통령은 “국민 모두를 위한 정부의 작은 위로이자 정성”이라며 전 국민 일괄 지원으로 판을 키웠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나 김경수 경남도지사 등 여권 내부에서 반대론이 일었으나 국회 심사 과정에서 ‘독감백신 무료 접종 105만명분 추가를 주장’한 국민의힘과 타협할 수밖에 없었다.
40만~100만원의 1차 재난지원금을 받은 국민들은 2만원 통신비 지원도 싫지는 않지만, 코로나19로 더 어려운 사람에게 혜택이 돌아갔으면 하는 마음이 없지 않았다. 통신비 지원 논란은 수조원의 국채를 발행해 논란의 싹을 품은 지원안을 내면서도 특별한 시뮬레이션 없이 밀어붙이려 했던 당정청은 물론 무료 접종과 엿 바꿔 먹은 야당의 책임이 크다. 전 국민 지원을 주도한 청와대 참모라도 머리라도 조아려야 하는 게 아닌가 싶다.
토머스 홉스가 말한 대로 ‘평화로운 공공생활의 대가’인 세금으로 나가게 될 통신비 지원이 세대 간 갈라치기를 하고 분열을 낳는다면 그런 웃기는 아이러니도 없다. 이번 통신비 지원 소동이 어떤 여론을 형성할지, 조만간 발표될 여론조사가 기다려진다.
marry04@seoul.co.kr
2020-09-2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