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유품관리사/임병선 논설위원

[씨줄날줄] 유품관리사/임병선 논설위원

임병선 기자
입력 2020-10-06 17:48
수정 2020-10-07 04: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유품관리사란 직업이 새로 부상하고 있다. 지난 8월 TV프로그램을 통해서 알게 된 이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쓸쓸히 홀로 죽어간 사람들, 고독사(일본에서는 ‘고립사’라 부른다)나 의문사, 극단을 선택한 이들이 남기고 간 것들을 갈무리하는 일을 한다. 유가족이 해야 할 일들을 대신 하는 것이다. 2014년에 개봉된 영국·이탈리아 영화 ‘스틸 라이프’에서 고독사한 시민들의 장례를 치르고, 그의 지인들을 찾아 초대하는 22년차 구청 공무원 존 메이가 하는 일을 연상하면 될 것도 같다.

일본에서는 생전에 남긴 삶의 흔적을 대신 지워 주는 ‘신변 정리사’란 비즈니스로 확대됐다. 디지털 공간의 ‘잊힐 권리’가 오프라인 삶의 전반에 뻗친 것이다. 요양병원 등으로 옮기기 전에 살던 집을 처분하고 정리할 물품들을 감정한 뒤 경매에 부쳐 본인이나 유족에게 돌려주는 일을 대행하는데 종활(終活) 또는 생전정리라고 한다.

같은 직업을 가진 김완 하드워크 대표가 지난 5월 ‘죽은 자의 집 청소’를 펴냈다. 김 대표는 대학에서 시를 전공했고 일본에 건너가 대필작가 일과 유품관리사 일을 함께 하다가 동일본 대지진 이후 귀국해 특수청소 서비스를 시작했다.

죽은 이들이 남긴 것들은 삶의 편린을 담고 있다. 정말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극단을 선택한 젊은 여인, 분명 고독사인데 아주 편안한 얼굴로 떠난 이, 저장 강박증으로 오줌 페트병 수천 개를 남긴 이, 남편이 남긴 책들을 오롯이 지키다 떠난 할머니, 자녀 없는 외로움을 명품 구매로 채우다 카드빚에 몰려 극단을 택한 부부, 세트로 마련한 식기들만 남긴 독신 여성, 먼저 떠난 신부를 그리워하다 병으로 세상을 떠난 남자가 남긴 연서(戀書) 등등.

타인의 죽음을 바라보는 일은 내 죽음, 내 삶을 제대로 응시하는 일이니, 김 대표가 쓴 책이 전하는 울림이 실로 묵직하다. 김 대표가 일에 임하는 원칙은 얼마간 감정의 거리를 두려 하고, 유족이 충분히 슬픔을 나눌 수 있도록 공감하며, 함부로 그이의 삶과 선택을 평가하고 재단하지 않는 것이라고 했다. 사실 그러지 않고선 그 일을 오래 해내기 힘들 것이다. 이 세상에 왔다는 흔적을 타인들, 심지어 가족에게도 보여 주기 싫다는 이들이 제법 있다. 스스로 바지런히 정리하고 떠나는 이들도 늘고 있다. 주위에 민폐 끼치고 싶지 않다는 마음일 것이다.

사회가 고도화될수록 쓸쓸한 죽음이 어쩔 수 없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연고 없는 고령자들은 말할 것도 없다. ‘n포 세대’라 불리는 젊은 세대도 결혼이나 자녀를 포기하고 혼자 살다 쓸쓸히 죽음에 맞닥뜨릴 가능성이 높다. 코로나 팬데믹은 이 추세를 더 부추길지 모른다.

bsnim@seoul.co.kr
2020-10-0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