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14억 중국’의 인구 걱정/김상연 논설위원

[씨줄날줄] ‘14억 중국’의 인구 걱정/김상연 논설위원

김상연 기자
김상연 기자
입력 2021-04-05 20:16
업데이트 2021-04-06 03: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은 인구가 너무 많아요. 미국 정도면 딱 좋겠어요.”

몇 해 전 미국에서 만난 중국 유학생은 인구 얘기가 나오자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며 이렇게 말했다. 광활한 국토에 비해 적은 인구가 여유 있게 사는 미국이 부러운 듯한 표정과 인구가 많은 중국에서 생존경쟁에 지친 듯한 표정이 버무려져 있었다.

미국(면적 983만㎢, 인구 3억 3000만명)과 중국(959만㎢, 14억 4000만명)은 국토 크기는 비슷하지만 인구는 엄청난 차이가 난다. 중국의 인구가 급증한 건 송나라 때 강남(양쯔강 이남) 지역에서 치수(治水)가 발달하면서부터다. 물을 농사에 이용하는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식량 생산량이 늘었고 이에 따라 인구도 폭증했다.

현재 중국의 인구는 세계 1위다. 지구인 5명 중 1명은 중국인이다. 그런 중국이 요즘 인구 감소 걱정을 하고 있다. 출산율이 떨어져 이대로 가면 2027년엔 2위인 인도(13억 9000만명)에 추월당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중국의 결혼 건수는 2013년 1347만건에서 2020년엔 813만건으로 급감했고, 2020년 신생아는 1030만명으로 2019년 1179만명에 비해 15% 줄었다. 지난달 열린 중국 양회에서는 ‘두 자녀 정책’ 폐기 등을 포함해 갖가지 출산 장려 제안이 쏟아졌다. 급기야 며칠 전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기사에 ‘도시의 미혼 여성을 농촌으로 보내 남성과 결혼시키자’는 산시성 싱크탱크 관계자의 발언이 실려 여성들의 거센 반발을 사기도 했다.

중국의 인구문제는 고령인구 증가와 젊은 노동인구 감소를 동반하니, 그 걱정이 이해가 되긴 한다. 하지만 너무 많은 인구가 지구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도 생각해야 한다. 수많은 중국 인구를 먹여 살리느라 수산 자원이 고갈되고 환경오염이 넘쳐난다는 뉴스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인구가 국력이라는 발상도 수정할 때가 됐다. 세계는 자유무역협정(FTA) 등으로 시장이 통합되고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국경의 의미가 약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2035년쯤 미국을 제치고 국내총생산(GDP) 1위로 올라서려는 야심을 갖고 있는데, 인구를 기반으로 한 GDP 순위가 국민의 행복에 얼마나 큰 의미가 있을지 의문이다.

국민의 행복도를 더 잘 반영하는 1인당 GDP 순위에서 중국은 59위에 불과하다. 1~5위 상위권은 룩셈부르크 등 유럽의 소국(小國)들이 차지하고 있다. 인구가 3억명이라도 질적으로 우수하다면 1등 국가가 될 수 있음을 미국의 사례는 보여 준다. 그리고 이것은 몇 년 전 미국에서 만났던 그 중국 유학생과 같은 상당수 중국인들의 속마음일 것이다.

carlos@seoul.co.kr
2021-04-06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