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단순노출효과의 두 얼굴/부경희 광운대 미디어영상학부 심리학 교수

[열린세상] 단순노출효과의 두 얼굴/부경희 광운대 미디어영상학부 심리학 교수

입력 2010-05-29 00:00
업데이트 2010-05-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부경희 광운대 미디어영상학 교수
부경희 광운대 미디어영상학 교수
아침형 인간이 아닌 내게 요즘 괴로운 것이 있습니다. 아침마다 확성기로부터 쏟아지는 유세 소리 때문입니다. 확성기 성능 문제인지 아니면 여러 소리가 섞여서인지 새벽(?)의 고성방가에 짜증이 납니다. 소리뿐 아니라 거리의 모습 또한 마치 새마을운동 시절인 70년대로 돌아온 촌스러운 느낌이 듭니다. 그때만 해도 교통도 혼잡하지 않았고 워낙 정보가 귀했으니 그마저 신기하여 동네 꼬마들이며 사람들이 줄줄 따라다니고 사람들의 눈길을 끌었지만, 요즘 유세 차는 불쌍할 정도로 외면당하면서까지 저렇게 뭔지 알아들을 수도 없는 소리를 몰고 다녀야 하나 싶어 걱정스럽습니다. 도대체 선거 때만 되면 겪는 이런 방법이 실제 후보자들에게나 유권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일일까요?

심리학의 재미있는 이론 중 ‘단순노출효과’라는 것이 있습니다. 내용에 관계없이 그저 반복 노출하는 것 자체만으로도 선호(호감)를 낳을 수 있다는 이론입니다. 많이 본 건 익숙해져서 생소하고 낯선 것들에 비해 훨씬 더 안전하게 느껴지고, 그래서 결국 내 편으로 여기려는 원시시대부터 내려온 우리 인간의 비합리적인 감성이지요. 지난 수십 년간 심리학자들은 수백 편의 논문을 통해 이 단순노출효과를 검증해 내고 있는데, 의미 없는 문자·기호뿐 아니라 크게 구별 안 되는 현대음악, 도형 등 전 영역에서 증명됐습니다.

그중 최고의 연구는 인간의 얼굴 사진을 가지고 한 연구입니다. 모든 인간의 얼굴은 좌우가 다르다는 점에 착안한 천재적 연구인데요. 자신, 지인, 일반인의 얼굴 사진을 여러 개 섞어 인물에 대한 호감도를 평가하게 한 이 연구에서 참여자들은 지인의 얼굴은 매번 보는 정방향 포지티브 이미지를, 자신의 얼굴은 매일 거울로 본 뒤집힌 네거티브 이미지를 선호했습니다. 물론 전혀 모르는 타인의 얼굴은 좌우가 어떻게 바뀌어도 상관없이 비슷한 선호도를 보였습니다. 매일 보던 걸 좋아한다는 걸 이것처럼 확실히 보여 준 연구가 있을까요. 실제로 사람들은 어찌 됐건 많이 본 제품을 더 많이 사고, 또 지난번 썼던 친숙한 제품을 더 많이 사게 됩니다. 이런 감(感)으로 후보자들이 이렇게들 열심히 보이고 소리 내려고 노력하는 것이겠지요.

그런데 후보자들의 홍보 전략가들이 놓치고 있는 중요한 사실이 있습니다. 단순노출효과가 있으려면 적어도 노출된 자극은 ‘중립적이어야 한다.’는 조건입니다. 다시 말해 이미 비호감인 자극은 아무리 반복해서 보여 준다 해도 호감을 낳을 수 없다는 뜻입니다. 어떻게든 싫다는 생각이 든 사람에게는 아무리 여러 번 노출을 하여도 호감이 늘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입니다. 선거 캠페인의 노래와 유세 차는 오래된 자극이라 중립적이기 어려운 자극이지요. 이미 비호감의 감정을 갖기 시작한 유권자에게는 오히려 역효과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지요. 오히려 ‘악수한 수만큼 표가 나온다.’는 말에 더 눈여겨볼 필요가 있는지 모릅니다. 개인 후보자와의 악수는 대인 접촉이기 때문에 단순노출효과와 더불어 인상(impression) 효과까지 두 배의 결과를 낳을 수도 있습니다.

유권자들이 후보자들을 잘 모르는 경우 더욱 그렇습니다. 그래서 시끄러운 확성기보다는 부지런한 개인적 접촉을 통한 온라인의 추가적 입소문 등 좀더 현대적인 방법까지 확대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 생각됩니다. 자신의 모습을 많이 반복적으로 드러내는 것, 중요합니다. 단순히 반복 노출하는 것만으로도 확실히 호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노출하기 전에 한 가지는 꼭 체크하셔야 합니다. ‘이미 부정적 이미지 형성이 되지는 않았는지’, ‘유권자를 짜증나게 하는 방법은 아닌지’. 나쁜 방법은 자극을 부정적인 자극으로 순식간에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 이후에는 단순노출효과는 사라집니다. 복구하는 데 몇 배의 노력이 필요하지요.

어쨌든 개인적으로는 어떤 경우더라도 효과적인 방법을 알고 일하는 지도자를 선택하고 싶네요. 해야 할 일, 필요한 일은 수없이 많고 모두 다 할 수 없다면 새로운 방법을 모색해 효율적으로 일하는 지도자가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오지 않을까요?
2010-05-29 2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