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일본 3代의 걱정/장제국 동서대 총장

[열린세상] 일본 3代의 걱정/장제국 동서대 총장

입력 2011-11-09 00:00
업데이트 2011-11-09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장제국 동서대 총장
장제국 동서대 총장
10월 말 일본의 한 경제단체 초청을 받아 선상 특강을 하게 됐다. 부산 영도에 있는 국제크루즈선 터미널을 떠나 요코하마항에 입항하기까지 2박 3일을 선상에서 보내며 일본 경제계의 중견 간부들과 일본의 미래에 대해 열띤 토론을 했다. 크루즈선에 오르자 퇴직한 일본인 노부부들이 곱게 차려입고 노후를 여유 있고 멋지게 즐기고 있었다. 전후 폐허 속의 일본을 오늘의 선진국 일본으로 만든 주인공들이었다. 필자에게 주어진 특강 테마는 지금의 일본을 어떻게 보는가였다. 외국인의 눈에 비친 일본에 대해 이들이 궁금해하고 있다는 것을 강단에 서는 순간 느낄 수 있었다.

필자는 일본을 경제대국으로 만드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해 온 과거의 장점들이 지금은 오히려 장애물이 돼 버린 것 같다고 운을 뗐다. 첫째는 일본의 국가주의 연연을 들었다. 전후 일본은 국가 재건을 위해 국가가 앞장서서 경제 발전을 도모하는, 소위 ‘국가주의’를 내건 것이 주효했다. 우수한 인재들이 관료가 돼 정책을 입안하고, 경제계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수출 중심의 경제를 이끌어 온 것이다. 이러한 정책의 성공은 일본으로 하여금 세계 경제대국 반열에 이름을 올리게 했다. 문제는 이러한 국가주의가 선진국이 되고 난 지금에 와서도 지속되다 보니 정경유착으로 변질되게 되고, 그것이 시장경제를 왜곡하게 하는 주요 요인이 돼 버렸다고 지적했다.

두 번째로는 일본의 제조업 마인드 팽배를 꼽았다. 일본 경제 발전의 최대 공헌자는 역시 제조업이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전 세계 어디를 가도 일본 제품이 없는 곳이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제조업의 발전은 세월이 흐르면서 사회 전체의 유연성과 창조성을 결핍시키고 제조업 마인드의 만연을 초래했다. 그 결과 지금 일본은 ‘매뉴얼 사회’라는 병에 걸려 있는 것 같다고 진단했다. 마지막으로 지적한 것은 전후 일본의 국가 정체성에 관한 것이었다. 패전한 일본은 전쟁을 포기한 평화헌법을 받아들였고, 국가 안보는 미국에 맡기고 경제 발전에만 매진하겠다는 국가 철학을 내걸었다. 문제는 이러한 점이 경제대국이 된 지금에 와서도 일본이 국제무대에서 마땅히 누릴 수 있는 정치적 리더십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했다. 더구나 이웃 나라와의 역사 문제 청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한국과 중국이 일본의 ‘보통 국가화’를 용인할 리 만무하다고 강조했다.

수강생들은 자신들이 열심히 그 안에서 생활하는 사회 시스템 자체가 일본의 상대적 쇠퇴 요인이 되고 있다는 다소 ‘당돌한’ 지적에 적지 않게 당황하는 모습이었다. 특강을 마치고 점심 식사를 같이 하며 토론을 계속했다. 한 참석자는 “우리 다음 세대는 유복한 생활에 젖어 있다 보니 헝그리 정신이 부족한 것 같다.”고 했다. 또 다른 사람은 “그보다 더 심각한 문제는 특강에서 지적된 우리의 과거 모델을 그대로 다음 세대에 물려줄 수 없다는 데 있는 것 같다.”며 새로운 모델 제시의 필요성을 말했다. ‘지금 세대’의 ‘다음 세대’에 대한 고민과 걱정의 목소리였다.

식사를 마치고 자리를 옮겨 라운지에 앉아 끝없이 펼쳐지는 태평양을 바라보며 이야기를 나누는데, 우리를 물끄러미 쳐다보고 있던 옆 테이블의 한 노부부가 말을 걸어 왔다. 젊은 사람들이 직장에는 안 가고 이 배에는 웬일이냐는 식의 농담조 질문이었다. 경제대국 일본을 있게 한 ‘과거 세대’가 놀고 있는 듯한 ‘지금 세대’에 대해 걱정하는 목소리로 들렸다. ‘과거 세대’가 ‘현재 세대’를 걱정하고, ‘현재 세대’가 ‘미래의 세대’를 걱정하는 모습을 목격하게 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엄청난 저력을 가진 나라다. 스마트 그리드를 비롯한 선진 기술이 넘쳐나는 곳도 일본이고, 오랫동안 축적한 일본 경제의 저변도 결코 만만하지 않다. 그러나 무엇보다 과거·현재·미래를 걱정하고 고민하고 ‘연결’하는 3세대가 있는 한 일본의 미래는 결코 어둡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세대 간 ‘단절’이 깊어만 가는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는 과연 무엇일까 하고 생각에 잠기는 동안 배는 어느 새 목적지 요코하마항에 입항하고 있었다.

2011-11-09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