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판 미네르바 경기전망 논란 “내년 中 부동산 붕괴”

중국판 미네르바 경기전망 논란 “내년 中 부동산 붕괴”

입력 2010-03-29 00:00
수정 2010-03-29 00: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베이징 박홍환특파원│‘중국 부동산시장은 2011년 붕괴한다. 일본의 1985~1991년 상황과 똑같다.’ 내년 중국 부동산시장의 붕괴를 예측한 ‘중국판 미네르바’로 중국 인터넷이 후끈 달아올랐다.

‘예측’은 지난 26일 처음 등장했다. 이상할 정도로 똑같은 일본과 중국의 부동산시장 동향을 묘사한 ‘중국 부동산붕괴 시간표’라는 그림이 인터넷에 올라오면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일본의 경우 ‘1985년 엔화 절상→86년 투기자금 대거유입→87년 부동산 가격 3배 폭등→88년 1차 폭락, 개발업체 가격 부양→91년 부동산 붕괴’로 이어졌고, 중국 역시 ‘2005년 위안화 절상→06년 투기자금 대거유입→07년 3배 폭등→08년 1차 폭락, 개발업체 가격 부양’까지 똑같은 탓에 내년에 부동산 시장이 붕괴될 것이라는 게 요지다.

상당수 네티즌뿐만 아니라 일부 전문가들도 예측에 동조하고 있다.

중국발전연구기금회 탕민(湯敏) 부비서장은 “지금의 중국 부동산 시장은 당시의 일본과 매우 흡사하다.”면서 “나무가 아무리 자라도 하늘까지 닿을 수는 없다.”고 말했다.

중국국제금융공사(CICC) 홍콩연구부 선젠광(沈建光) 부사장도 “부동산 거품, 수출형 경제, 위안화 절상 압력 등은 물론 저소비·고저축률, 느슨한 통화정책 등 모든 면에서 중국은 1980년대 거품붕괴 직전의 일본과 유사하다.”고 우려했다.

반론도 만만치 않다. 중국사회과학원 금융연구소의 이셴룽(易憲容) 금융발전실 주임은 “높은 부동산 가격 때문에 투기성 자금의 유입을 억제하기 힘든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중국은 투기자금을 흡수할 지방도시들이 많기 때문에 부동산 시장이 붕괴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전망했다.

관변 연구단체의 많은 전문가들은 “금융시스템, 인구, 도시화 정도 등의 차이가 워낙 크기 때문에 중국이 일본의 전철을 밟지는 않을 것”이라며 ‘중국판 미네르바’의 예측을 일축했다.

중국에서는 지난해 신규대출 9조 6000억위안(약 1600조원) 가운데 상당액이 부동산 시장에 몰리면서 부동산 값이 급등했고, 지난 2월에도 전국 평균 10.7% 상승, 거품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stinger@seoul.co.kr
2010-03-29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