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6월14~20일)에는 미국 멕시코만 원유 유출 사태에 대한 각종 청문회가 열리면서 영국의 석유회사 BP가 더욱 궁지에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또 국제구호선 유혈 사태와 관련, 국제사회가 다시 이스라엘 압박에 나선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14일 이틀 일정으로 멕시코만 원유 유출 사태 피해 현장을 찾은 뒤 대국민 연설을 한다. 17일에는 브리티시페트롤리엄(BP)의 토니 헤이워드 최고경영자(CEO)가 미 하원 에너지·상무위원회의 에너지·환경소위에 출석, BP의 대응이 적절했는지에 대한 의원들의 ‘추궁’을 받게 된다.
●국제사회, 이스라엘 압박 지속
이스라엘이 진상 조사위를 꾸릴 예정인 가운데 국제사회의 압박은 계속된다. 아랍연맹의 암르 마무드 무사 사무총장이 가자지구를 찾고 이스라엘에 대한 제재를 주장해온 리처드 포크 유엔 팔레스타인 점령지역 인권 특별보고관이 기자회견을 연다.
●EU, 천안함관련 입장 내놓나
유럽연합(EU) 정상회의에서는 은행세 부과 문제가 결정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천안함 사태에 대한 EU의 정리된 입장이 나올지도 관전 포인트다. 지난 4월 대통령 전용기 추락 사고를 겪은 폴란드는 20일 새 대통령을 뽑는다.
나길회기자 kkirina@seoul.co.kr
2010-06-14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