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 기능까지…진화하는 스마트폰

신용카드 기능까지…진화하는 스마트폰

입력 2010-08-24 00:00
수정 2010-08-24 00: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美 결제태그 출시… 보안은 문제

스마트폰은 ‘전자지갑’으로의 진화에 성공할 것인가. 카메라와 캘린더, MP3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면서 디지털 시대의 ‘맥가이버칼’로 일컬어지는 스마트폰의 차세대 기능을 개발하기 위해 실리콘밸리가 앞을 다투고 있다. 무엇보다 전자결제 기능을 구축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스마트폰이 신용카드를 대체할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는 것이다.

22일 미국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에 따르면 모바일 개발업체인 블링네이션과 이베이의 인터넷결제시스템인 ‘페이팔(Paypal) 부문은 공동으로 상점이나 레스토랑, 커피전문점에서 신용카드나 현금 없이 스마트폰으로 결제하는 시스템 출시에 힘을 쏟고 있다. 애플과 휴대전화 서비스업체인 AT&T, 버라이존, T-모바일 등 휴대전화 서비스업체도 비슷한 성능을 갖춘 제품을 내놓을 계획이다.

현재 해당 분야에서 선두에 서있는 블링네이션은 이미 1000개 이상의 소매업자들과 결제관련 계약을 맺었다. 블링네이션은 스마트폰 뒷면에 ‘블링 태그’라는 스티커를 붙인 뒤 계약된 매장에서 물건을 사고 리더기에 갖다 대면 ‘페이팔’계좌로부터 돈이 빠져나가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보안을 위해 이용자는 개인 ID를 입력하면 된다. 블링태그를 이용할 경우, 수수료는 신용카드보다 훨씬 낮은 1.5%다.

문제가 없지는 않다. 모바일 결제기술은 새로운 결제 방식에 대한 고객의 불편과 스마트폰의 높은 분실 위험에 따른 보안 관리, 제대로 보급되지 않은 리더기 등의 문제로 대대적인 서비스 확대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는 처지다. 베르 로버트슨 재이벨린 스트래티지 앤드 리서치 결제 담당 이사는 “어떤 모델이 긍극적으로 시장에 맞는 서비스인지 아직 결정되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박성국기자 psk@seoul.co.kr

2010-08-24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