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워싱턴 인근 버지니아주 페어팩스에서 가진 타운홀 미팅에서 사회 기반시설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이를 통한 최고의 인프라 구축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한국을 브로드밴드(광대역 통신망) 사업의 모범적인 국가”라고 소개했다. 이어 미국의 인프라 투자가 국내총생산(GDP)의 2%에 불과한 반면 중국은 9%, 유럽은 5%에 달한다는 사실을 언급한 뒤 미국은 철도, 공항, 브로드밴드 등에서 최고의 위치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우리보다 더 나은 브로드밴드 서비스와 와이어리스(무선 통신망) 서비스를 갖추고 있다.”면서 “시간이 지나면서 그런 게(인프라에 대한 부족한 투자) 쌓이고 있으며, 이는 우리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있다.”고 역설했다. 앞서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달 전국을 돌며 중간선거를 위한 지원 유세 과정에서 “한국은 미래의 창출을 위해 모든 힘을 다해 싸우고 있는 나라”라며 사흘 연속 한국을 칭송했다.
지난달 초에는 자신의 아버지 나라인 케냐와 한국을 비교하면서 “내 아버지가 미국에서 유학하던 1960년대 초반에는 케냐의 GDP가 한국보다 높았고, 내가 태어나던 때도 케냐가 한국보다 훨씬 부유했겠지만 지금은 전혀 비슷하지 않다.”며 한국의 발전상을 높이 평가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대선후보 시절부터 한국 교육의 경쟁력과 경제발전 등을 모범 사례로 자주 거론해 왔다.
워싱턴 김균미특파원 kmkim@seoul.co.kr
2010-09-15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