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군사위 부주석 승계?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3남 김정은이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에 선임돼 북한의 후계구도가 본격화된 가운데 이번에는 중국의 대권구도에 전 세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시진핑 군사위 부주석
중국에서 중앙군사위 부주석은 ‘대권 승계의 필수코스’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 홍콩 언론들은 29일 후진타오 국가주석이 28일 열린 정치국 회의에서 5중전회 일정을 확정했다고 전하면서 이번 5중전회에서는 시 부주석에게 온통 이목이 집중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시 부주석이 중앙군사위 부주석에 선임되면 중국의 권력승계 문제는 사실상 일단락된다. 2012년 가을 열리는 제18기 공산당 전국대표대회(전대)에서 후 주석으로부터 공산당 총서기직을 물려받고, 2013년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국가주석직까지 넘겨받아 중국의 5세대 지도자에 등극할 것으로 예상된다.
후 주석도 1998년 국가부주석에 임명된 이듬해인 1999년 9월 15기 4중전회에서 중앙군사위 부주석에 선임됐고, 2002년 당 총서기, 2003년 국가주석에 올랐다.
일말의 변수가 남아 있다는 관측도 있다. 바로 리커창(李克强) 부총리와의 권력 투쟁이다.
앞서 시 부주석은 후 주석과 마찬가지 수순을 밟아 지난해 9월 열린 17기 4중전회에서 중앙군사위에 입성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실현되지 않았다. 당시 “리커창 부총리와의 권력투쟁이 심각하다.”, “본인이 고사했다.”, “발표만 안 했을 뿐 이미 확정됐다.”는 등 구구한 소문이 돌았다.
베이징의 외교 소식통은 그러나 “중국의 권력승계 시스템상 시 부주석이 후 주석의 뒤를 이을 것은 거의 100% 확실하다.”면서 “이변은 벌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0-09-30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