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순한 의도 개입” VS “인권상황 개선 안돼”
중국의 대표적 반체제인사인 류샤오보(劉 曉派·55)가 올해의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선정됐다는 소식이 전해진 지 사흘이 지난 11일까지도 중국에서는 이 문제가 중요한 ‘담론’으로 떠오르지 못하고 있다. 당국의 철저한 통제 속에 인터넷과 언론이 이 문제를 묻어두고 있기 때문이다. 관영 언론은 오로지 ‘범죄자’ 류샤오보에게 노벨평화상을 수여키로 한 것이 중국의 발전을 방해하려는 ‘서방의 정치적 음모’라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지식인들을 제외한 중국 일반 시민들은 혼돈에 빠졌다. 고대했던 중국 국적자 최초의 노벨상 수상자가 나왔지만 기뻐하기는커녕 ‘음모론’을 제기할 수밖에 없는 현실에 고개를 갸우뚱하고 있다. 시민들의 의견도 엇갈린다.
베이징의 한 대학에 재학 중인 리카이푸(李開福)는 “류샤오보는 중국의 정치적 문제를 제기한 사람인데 왜 노벨평화상을 수여하느냐.”며 “국내 문제는 다른 국가나 단체가 간섭해선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공적을 계량화할 수 있는 화학상이나 물리학상 등과 달리 평화상에는 심사위원들의 가치관이 개입될 수밖에 없다.”면서 “불순한 의도가 개입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반면 국부로 추앙받는 마오쩌둥 전 주석의 고향인 후난성의 한 택시기사는 전화통화에서 “류샤오보 관련 소식을 알고 있다.”면서 “공산당 일당독재 폐지를 요구하는 그의 주장은 전적으로 옳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경제는 발전했을지 몰라도 인권 상황은 30년 전보다 크게 나아진 것 같지 않다.”고 말했다.
서부 쓰촨성에서 일자리를 찾아 3년 전 베이징으로 올라왔다는 한 농민공은 “류샤오보가 누군지 진짜 모르겠다.”면서 “노벨상을 받은 것은 축하해줘야겠지만 국가가 반대한다면 충분한 이유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본격적으로 언론을 통한 대응에 들어갔다. 관영 신화통신은 ‘노벨평화상은 서방의 정치적 도구’라는 러시아 이타르타스 통신의 칼럼 내용을 전재했고, 대부분의 언론이 이 내용을 그대로 받아 보도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0-10-12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