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베트남 하노이에서 예정됐던 간 나오토(菅直人) 총리와 원자바오 총리간 정상회담이 중국의 일방적인 거부로 전격 무산되자 충격을 받고 있다.
일본은 하노이 일중(日中) 정상회담에서 센카쿠(尖閣: 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사태로 불거진 갈등 수습의 토대를 닦은 뒤 다음달 요코하마에서 열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으로 외교 관계를 완전 정상화한다는 구상이었으나 중국의 반발로 틀어졌다.
중국이 하노이 정상회담 직전 돌연 발을 뺀 배경을 놓고 다양한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일본 언론에 따르면 중국이 일본과의 정상회담을 거부한 것은 직접적으로 AFP 통신의 보도가 발단이 됐다.AFP는 29일 오전 마에하라 세이지(前原誠司) 외무상과 양제츠 중국 외교부장의 회담이 끝난뒤 마에하라 외상의 발언을 소스로 ‘동중국해의 가스전 개발을 위한 조약교섭 재개에 양국이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이 보도가 나간 뒤 중국 측은 ‘교섭재개에 합의한 사실이 없는데 일본이 사실무근의 말을 흘려 동중국해에 대한 두 나라의 입장을 왜곡시켰다’고 반발했다.일본은 마에하라 외상이 문제의 발언을 한 적이 없다고 설명하는 한편 정정보도를 요청해 AFP가 이를 받아들였지만 중국은 막무가내였다.
하지만 이는 표면적인 이유일 뿐 사실은 28일 하와이에서 있었던 미일 외교장관 회담에서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이 센카쿠 열도에 대해 ‘미국의 대일 방위 의무를 규정한 미일안보조약 제5조의 적용대상’이라고 밝힌 것에 단단히 화가 나 있었다.
중국 외교부는 이에 대해 강력한 불만을 담은 담화를 내놓고 ‘절대 수용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중국 외교부의 후정웨 부장조리(차관보급)는 29일 밤 “일본측이 정상회담의 분위기를 깼다.책임은 완전히 일본에 있다”고 정상회담 거부를 선언했다.
그는 “아세아+3 정상회의 전야에 일본의 외교책임자가 타국을 끌어들여 댜오위다오 문제를 다시 거론했으며 언론을 통해 중국의 주권과 영토보전을 침해하는 연설을 유포시켰다”고 비난했다.
일본 측은 미국이 센카쿠가 미일안보조약의 적용대상이라고 밝힌 것이 처음이 아닌데다 언론의 명백한 오보를 문제삼아 정상회담을 일방적으로 무산시킨 것에 대해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후쿠야마 테쓰로(福山哲郞) 관방 부장관(차관)은 중국의 정상회담 거부와 관련 “매우 놀랐다”고 충격을 토로했다.
중국은 일본 정부가 센카쿠 선박 충돌 비디오를 국회에 제출하고 ‘센카쿠는 일본의 고유영토이므로 영토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마에하라 외상의 강경발언이 반복되는 상황에서 미국이 센카쿠가 미일 방위조약의 적용대상이라고 일본을 싸고돌자 정상회담에 부담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
국민과 공산당.군부 강경론자들의 반일 감정이 비등한 때에 자칫 일본의 페이스에 말려 정상회담에 나서 화해 분위기를 연출했다가는 ‘나약한 외교’라는 비판에 직면할 우려가 있는데다 대일(對日) 유화론자로 알려진 원자바오 총리의 입지가 흔들릴 수 있다.
양국의 공식 정상회담 무산으로 이달 4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렸던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만찬장 복도에서 간 총리와 원자바오 총리의 비공식 회동 이후 회복세를 탔던 두 나라 외교관계는 다시 급랭했다.
양국은 이번 사태로 불신의 골이 더욱 깊어져 대화를 재개하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일본은 하노이 일중(日中) 정상회담에서 센카쿠(尖閣: 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사태로 불거진 갈등 수습의 토대를 닦은 뒤 다음달 요코하마에서 열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으로 외교 관계를 완전 정상화한다는 구상이었으나 중국의 반발로 틀어졌다.
중국이 하노이 정상회담 직전 돌연 발을 뺀 배경을 놓고 다양한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일본 언론에 따르면 중국이 일본과의 정상회담을 거부한 것은 직접적으로 AFP 통신의 보도가 발단이 됐다.AFP는 29일 오전 마에하라 세이지(前原誠司) 외무상과 양제츠 중국 외교부장의 회담이 끝난뒤 마에하라 외상의 발언을 소스로 ‘동중국해의 가스전 개발을 위한 조약교섭 재개에 양국이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이 보도가 나간 뒤 중국 측은 ‘교섭재개에 합의한 사실이 없는데 일본이 사실무근의 말을 흘려 동중국해에 대한 두 나라의 입장을 왜곡시켰다’고 반발했다.일본은 마에하라 외상이 문제의 발언을 한 적이 없다고 설명하는 한편 정정보도를 요청해 AFP가 이를 받아들였지만 중국은 막무가내였다.
하지만 이는 표면적인 이유일 뿐 사실은 28일 하와이에서 있었던 미일 외교장관 회담에서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이 센카쿠 열도에 대해 ‘미국의 대일 방위 의무를 규정한 미일안보조약 제5조의 적용대상’이라고 밝힌 것에 단단히 화가 나 있었다.
중국 외교부는 이에 대해 강력한 불만을 담은 담화를 내놓고 ‘절대 수용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중국 외교부의 후정웨 부장조리(차관보급)는 29일 밤 “일본측이 정상회담의 분위기를 깼다.책임은 완전히 일본에 있다”고 정상회담 거부를 선언했다.
그는 “아세아+3 정상회의 전야에 일본의 외교책임자가 타국을 끌어들여 댜오위다오 문제를 다시 거론했으며 언론을 통해 중국의 주권과 영토보전을 침해하는 연설을 유포시켰다”고 비난했다.
일본 측은 미국이 센카쿠가 미일안보조약의 적용대상이라고 밝힌 것이 처음이 아닌데다 언론의 명백한 오보를 문제삼아 정상회담을 일방적으로 무산시킨 것에 대해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후쿠야마 테쓰로(福山哲郞) 관방 부장관(차관)은 중국의 정상회담 거부와 관련 “매우 놀랐다”고 충격을 토로했다.
중국은 일본 정부가 센카쿠 선박 충돌 비디오를 국회에 제출하고 ‘센카쿠는 일본의 고유영토이므로 영토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마에하라 외상의 강경발언이 반복되는 상황에서 미국이 센카쿠가 미일 방위조약의 적용대상이라고 일본을 싸고돌자 정상회담에 부담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
국민과 공산당.군부 강경론자들의 반일 감정이 비등한 때에 자칫 일본의 페이스에 말려 정상회담에 나서 화해 분위기를 연출했다가는 ‘나약한 외교’라는 비판에 직면할 우려가 있는데다 대일(對日) 유화론자로 알려진 원자바오 총리의 입지가 흔들릴 수 있다.
양국의 공식 정상회담 무산으로 이달 4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렸던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만찬장 복도에서 간 총리와 원자바오 총리의 비공식 회동 이후 회복세를 탔던 두 나라 외교관계는 다시 급랭했다.
양국은 이번 사태로 불신의 골이 더욱 깊어져 대화를 재개하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