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동영상 등 이용방안 검토
미국 긴급전화 911로 구조 요청을 할 때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나 사진, 동영상까지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이 본격 추진된다.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의 줄리우스 겐나코스키 의장은 23일(현지시간) 버지니아 주 알링턴 응급센터에서 한 연설에서 “현재의 911 시스템은 오늘날의 통신 기술 발전상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으며, 이제 911도 디지털 시대로 들어가야 할 때가 됐다.”면서 이 같은 방침을 밝혔다고 LA타임스가 보도했다.최근 미국 911 접수 전화의 70%는 휴대전화로 이뤄지고 있다. 겐나코스키 의장은 “하루 평균 911에 접수되는 전체 전화 65만건 가운데 45만건이 휴대전화를 이용한 것으로, 모바일 문자메시지가 압도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911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문자메시지는 특히 장애를 가진 이들에게도 유용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이라고 911 문자메시지 구조 요청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겐나코스키 의장은 지난 2007년 한인 청년이 벌인 버지니아 공대 총기 난사 사건과 같은 긴급 상황에서도 구조 요청을 하는 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버지니아 공대 총격 사건의 경우 911 시스템의 한계를 여실히 드러냈다.”면서 “일부 학생들과 목격자들이 당시 긴박했던 상황을 911에 문자로 보내려 했으나 불가능했다.”고 덧붙였다.
겐나코스키 의장이 처음 제안한 새로운 911 시스템은 다음 달 열릴 위원회 회의에서 토론 과정을 거쳐 최종 도입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황수정기자 sjh@seoul.co.kr
2010-11-25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