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0년 유로존(유로화 사용 16개국) 출범 이후 가장 큰 혜택을 본 유럽 국가는 독일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뉴욕타임스(NYT)는 19일(현지시간) 단일통화를 사용하는 유로존 국가들이 지난 10년간 경제구조에 따라 희비가 엇갈리는 성적표를 받아 들었다고 보도했다.
유로화 사용으로 가장 큰 덕을 본 나라로 유럽 최대의 경제 대국이자 수출에 주력하고 있는 독일이 꼽혔다. 독일의 수출은 유로존 내 전체 교역량 가운데 4분의1을 넘어서고 있으며, 지난 10년간 꾸준히 증가세를 유지했다. 독일은 유로존 외부로의 수출량에서도 전체 유로존 국가 교역량의 36%를 차지하고 있다. 유로존 출범 당시 수출 4위권이었던 네덜란드는 10년 만에 프랑스와 이탈리아를 제치고 2위로 뛰어올랐다. NYT는 “단일통화 체제는 수출 경쟁력을 갖춘 국가에게 호재로 작용했다.”면서 “슬로베니아와 슬로바키아 역시 규모는 작지만 수출 교역량이 크게 늘었다.”고 밝혔다.
반면 프랑스와 이탈리아는 유로존 내 수출이 둔화되면서 경제적 타격을 입은 것으로 평가됐다. 두 나라는 유로존 출범 초기에는 수출 비중이 17%와 11.9%였지만 지난해 13.4%와 10.1%로 퇴보했다. NYT는 “이탈리아의 경우 과거 통화 체제에서는 리라화 가치를 조정하며 경쟁력을 제고해 왔지만 현재는 외부 상황 변화에 대응할 수단이 마땅치 않다.”고 평가했다.
최악의 성적표를 받은 국가는 아일랜드다. 제조업 중심으로 높은 경쟁력을 갖고 있던 아일랜드는 제조업 대신 자산 붐에 기대 금융산업을 강화하면서 오히려 대외 경쟁력이 급격히 떨어졌고 결국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을 받는 처지가 됐다. 이 밖에 그리스는 그나마 크지 않은 수출 비중이 계속 줄어들고 있는 국가로 평가됐고, 스페인은 간신히 버티고 있으며 포르투갈은 유로존 내 교역량이 크게 줄고 유로존 밖 수출만 소폭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NYT는 “유로존 국가들의 성적표는 결국 수입보다는 수출을 강화한 국가들이 단일통화에 유리하다는 점을 입증했다.”면서 “앞으로 달러화 대비 유로화 가치가 더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들 국가 간 격차는 더 크게 벌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0-12-21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