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에선

선진국에선

입력 2011-05-03 00:00
업데이트 2011-05-03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초등학교 안에 ‘K학년’ 편제, 프랑스-1880년대부터 유아공교육

생애 초기인 영·유아기는 개인의 최종 지능의 80%가 발달하는 등 지적발달의 결정적인 시기다.

미국에서 2003년 진행된 페리 프리스쿨 프로젝트에 따르면 유아교육에 1달러를 투자하면 16.14달러의 편익이 발생한다.

또 유아교육기관 경험이 없는 학생들은 중학교 수학·영어 과목에서 각각 8.39점(100점 만점 기준), 11.66점 낮은 성취도를 보였다는 한국교육개발원의 연구결과도 있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선진국은 유아교육비의 공공부담 비율을 80%까지 확대하고 취학 직전 1년의 교육에 대해 엄격히 관리하는 등 유아교육을 공교육 체제에 적극적으로 편입하고 있다. 2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유아교육비의 공공부담 비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79.7%(2007년 기준)로 프랑스가 94.0%, 핀란드 90.6%, 미국 77.8% 등이다. 반면 한국은 49.7% 수준에 불과하다.

정부가 도입하는 만 5세 공통과정은 내용적으로는 미국의 ‘K(kindergarten)학년제’와 유사하다.

미국은 각 주마다 학제가 통일돼 있지 않지만 만 5세 유아교육은 만3~4세와 분리해 별도로 초등학교 내에 편제해 운영한다. 만 3~4세는 프리킨더가튼(Prekindergarten)에서 교육을 받고 이들보다 한살 많은 만 5세는 ‘K학년’으로 구분된다.

K학년제는 의무교육은 아니지만 공교육체제로 무상으로 운영한다. 하지만 유아교육이 형식적이고 주입식 교육으로 변질됐고 교육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아 만 3~5세 간 유아교육을 연계해야 한다는 지적이 미국 내에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프랑스는 1880년대부터 공교육 체제에서 유아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만 5세 취원율이 100% 수준이고 유아기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주기적으로 연계하고 있다.

일본도 2006년부터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인정어린이원’으로 통합해 교육과 보육을 동시에 제공하고 있다. 또 중국도 지난해 국가 미래인재정책에 따라 취학전 어린이의 교육강화 정책을 발표했다.

안석기자 ccto@seoul.co.kr
2011-05-03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