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양 섬 2개, 산호초 채굴로 가라앉아

인도양 섬 2개, 산호초 채굴로 가라앉아

입력 2011-05-14 00:00
업데이트 2011-05-14 09: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구상에서 가장 풍요로운 해양 생태 해역 중 하나로 꼽히는 인도-태평양의 섬 2개가 무분별한 산호초 채굴로 가라앉고 말았다고 BBC 뉴스가 13일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인도와 스리랑카 사이 마나르만(灣)에 있는 21개의 작은 섬들은 남아시아 최초의 해양 생물보호지구인 560㎢의 마나르만 해양국립공원으로 보호되고 있지만 이 지역 어민들이 지난 수십년간 푸르마리찬 섬과 빌랑구찰리 섬 주변에서 값나가는 산호초를 불법 채취해 왔다고 인도 타밀나두주 자연보존 책임자가 밝혔다.

마나르 생물권 보존 트러스트(GOMBRT) 이사장이기도 한 S.발라지는 “2002년 이전에는 아무런 규제도 없어 불법 산호초 채취가 성행했지만 자연보호법이 제정되면서 이런 행위는 사라졌다”면서 지구 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도 섬들이 물속으로 가라앉는 요인이 됐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영국의 한 해양 생태계 전문가는 관찰 결과 이 지역의 해수면 상승은 지구 평균보다 오히려 느리게 진행된 것으로 밝혀졌다면서 그보다는 산호초 채굴이 더 큰 요인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발라지는 사라진 두 섬에서 물 위로 솟았던 부분은 3~5m에 불과하지만 이 두 섬이 물속으로 사라짐으로써 작은 섬들이 장기적으로 직면한 위험이 첨예하게 부각되고 있다고 말했다.

마나르만은 생물학.생태학적 고유성과 이로 인해 형성된 특유의 사회 경제 및 문화를 이유로 지난 1989년 인도 정부에 의해 생물권 보존지구로 지정됐다.

보존지구 내 섬 21개는 대부분 무인도이지만 이 지역의 산호들은 탄화칼슘 성분이 풍부해 건설산업에 접착재료로 사용돼 왔다.

유엔개발계획(UNDP)의 해양생물학자 디팍 새뮤얼 박사는 마나르만 보존지구는 지난 2천년 동안 진주 채취로 유명한 곳이며 ‘바다소’로 불리는 듀공을 비롯, 약 3천600종의 동식물종이 서식하고 있으나 대부분은 아직 연구가 미치지 않은 상태라고 밝혔다.

이 지역에서는 30만명 이상의 어민들이 해양 자원에 생계를 의존하고 있다.

이 지역 주민들은 지난 2004년 말 인도양 쓰나미 때 이들 산호초 덕분에 생명과 재산을 구했다고 거듭 강조했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