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 테러모의 탈레반 조직원 4명 검거

파’, 테러모의 탈레반 조직원 4명 검거

입력 2011-05-14 00:00
업데이트 2011-05-14 10: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파’ 정보당국 “빈 라덴 사살 전, 알-카에다는 이미 궤멸” 주장무샤라프 전 대통령 “내년 3월 체포감수하고 귀국하겠다”

파키스탄 경찰은 주요 건물과 시설, 사법당국을 대상으로 테러를 모의한 탈레반 조직원 4명을 카라치 외곽에서 지난 12일 밤 체포했다고 13일 밝혔다.

오마르 샤히드 아미르 총경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검거된 테러 기도 용의자들이 파키스탄 내 탈레반으로 활동했다고 말했다.

경찰은 카라치 외곽에서 이들을 검거했으며 현장에서 자살 테러용 폭탄조끼와 폭발물 약 25㎏ 등을 압수했다.

용의자들은 교육 수준이 높고 각종 정보기기와 테러 장비 활용에도 능숙했다고 경찰은 전했다.

특히 이 가운데 1명은 카라치 소재 명문대 물리학부 재학생으로 확인됐다.

경찰 조사에서 이들은 카라치 내 유수 대학에서 테러에 언제라도 투입될 수 있는 학생들이 150여명에 이른다고 진술했다.

경찰의 용의자 검거는 테러조직 알카에다 지도자 오사마 빈 라덴의 미군측 사살에 대한 이슬람 극단세력의 첫 보복테러가 발행하기 직전에 이뤄졌다. 13일 파키스탄에선 첫 보복테러로 80명이 숨졌다.

이런 가운데 파키스탄 정보 당국은 빈 라덴이 사살되기 훨씬 전에 궤멸상태였다고 이날 주장했다.

파키스탄 정보기관 ISI의 수장 아마드 수자 파샤 중장은 의회 비공개 보고에서 “ISI는 빈 라덴 사망 전에 알카에다의 골간을 파괴했고 빈 라덴의 동지와 측근을 다수 사살했다”고 말한 것으로 회의에 참석한 피르도스 아시크 아완 정보장관이 전했다.

파샤 중장은 또 미 중앙정보국(CIA)이 ISI가 제공한 정보를 바탕으로 빈 라덴을 제거할 수 있었으며 미국의 독자적 작전수행은 양국간 합의내용을 위반한 것이라고 보고했다.

그는 또 빈 라덴이 죽은 것이나 마찬가지인 상황에서 미국이 이번 작전을 수행한 것은 단순히 빈 라덴을 제거하는 것 외에 다른 동기가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아심 술레만 공군 소장은 미군 헬기가 첨단기술로 파키스탄 레이더망을 빠져나갔다고 해명했다.

이번 회의는 정보당국과 군을 상대로 빈 라덴 추적 실패와 제거 작전에서 배제된 책임 소재를 가리기 위해 마련됐다.

한편 해외에 체류 중인 페르베즈 무샤라프 전 파키스탄 대통령은 2013년 대선에 출마하고자 내년 3월 귀국할 것이라고 이날 밝혔다.

파키스탄 법원은 베나지르 부토 전 총리 암살에 연루된 혐의로 지난 2월 무샤라프 체포영장을 발부했었다.

무샤라프는 두바이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키스탄을 위해 체포위험을 감수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