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유혈진압 규탄 성명… 알아사드, 야당 설립·정치활동 허용
반정부 시위대에 대한 시리아 정부군의 강경진압으로 사망자가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3일(현지시간) 정부의 유혈진압과 인권침해를 규탄하는 의장성명을 채택했다. 지난 3월 중순 시리아에서 반정부 시위가 시작된 이래 국제사회가 내놓은 첫 공식조치다.유럽 등 서방 국가들은 지난 6월 시리아 규탄 결의안 채택을 추진했지만 러시아, 중국 등의 반대로 무산됐다. 라마단 첫날인 지난달 31일 하마시를 비롯한 전역에서 시리아 정부군이 탱크를 동원한 강경진압으로 시위대 140여명이 숨지자 지난 1일 결의안 채택을 재차 추진했으나 실패했다. 그리고 이날 뒤늦게 결의안보다 한 단계 낮은 의장성명을 채택했다. 유엔 안보리는 성명에서 시리아 정부에 즉각 무력진압을 중단하고, 시리아 국민이 평화적인 집회와 표현의 자유를 누릴 수 있도록 포괄적인 정치 개혁을 단행하라고 촉구했다. 그러나 성명에는 시리아에 대한 제재나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의 처벌 요구 등은 포함되지 않았다.
미국은 알아사드 대통령에 대한 제재를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알아사드 대통령이 시리아 정정 불안의 원인”이라며 “미국은 시리아에 알아사드 대통령이 머물길 원하지 않는다. 비무장한 반정부 시위대에 무차별 폭력을 행사하는 알아사드 대통령에 대한 제재를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알아사드 대통령은 유엔의 규탄 성명에 4일 1963년부터 집권해 온 바스당 외에 야당의 설립과 정치활동을 허용한다는 내용의 법령을 발표했다고 관영통신 사나가 이날 보도했다. 이는 시위대의 주요 요구사항 중 하나였다. 하지만 알아사드 정권은 지난 3월 15일 시위 시작 이후 1700여명을 숨지게 한 데 이어 시위대에 대한 유혈진압을 여전히 강행하고 있다. 지난 1일과 2일 이틀새 34명이 사망한 데 이어 3일에는 시위 거점 도시인 하마에서 30명이 숨졌다. 런던에 있는 시리아인권감시단에 따르면 2일 숨진 사망자 중에는 저격수의 조준 사격에 희생된 9세 소녀도 포함돼 있는 등 사태는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2011-08-05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