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문학교 농촌 학생 비율 10여년 전 3분의1로 감소
중국에서도 ‘개천에서 용 나기’는 어려운 것 같다. 고도 성장으로 역동적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농촌 지역 출신들의 명문대학 진입 장벽은 오히려 높아져 신분상승 통로가 좁아지고 있기 때문이다.9일 타이완 중국시보에 따르면 최근 베이징대의 농촌 출신 학생 비율은 1990년대 초와 비교하면 3분의1로 곤두박질쳤다. 베이징대 교육대학원 류윈사(劉雲杉) 교수가 30년간 베이징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990년대 후반까지 30%를 유지하던 농촌 지역 출신 학생들의 비중이 2000년 이후 급격히 줄어들며 10%로 급락했다. 중국 명문대에 농촌 지역 출신 학생들이 줄어드는 것은 비교적 부유한 중국 도시 부모들의 명문대에 대한 열망이 대단하기 때문이다. 대학 졸업장이라도 대학 등급에 따라 취직문의 폭이 다를 뿐 아니라 월급 차이도 4~8배여서 명문대 졸업이 밝은 미래를 보장한다는 인식이 팽배한 것이다. 외국계 회사에서 인사를 담당하는 둥훙리(董紅麗·31·여)는 “요즘 들어서는 명문대 재학생들의 대부분이 고급관료나 개인 사업가의 아들, 딸”이라고 말했다.
반면 명문대 진학을 위해 드는 비용이 갈수록 많아지는 점은 농촌 지역 출신 학생들의 장벽이 되고 있다. 때문에 농촌 지역에서는 ‘공부 무용론’까지 등장할 정도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1-08-10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